“일부다처제” 아내 모두에 ‘배우자 수당’ 지급 의혹 파문

한 남편을 둔 복수의 무슬림 ‘아내’ 모두가 센터링크로부터 배우자 수당을 지급받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돼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Polygamy is illegal in Australia...What about Centrelink?

Polygamy is illegal in Australia...What about Centrelink? Source: Getty Image

한 남편을 둔 여러 무슬림 부인들이 센터링크로부터 배우자 수당 혜택을 누리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강경 보수 정치인 코리 버나디 상원의원은 “다문화주의 사회의 정치적 공정성 캠페인이 파생시킨 광란”이라고 독설을 퍼부었다.

버나디 상원의원은 “센터링크의 이같은 배우자 수당 지급은 일부 다처제를 용인하는 것과 다름없다”며서 “용납될 수 없는 과오”라고 질타했다.

그의 이같은 주장은 ‘한 남편을 둔 여러 부인에게 지급되는 배우자 수당 규모가 편부모 수당 지출액을 능가할 것이다’라는 한 언론사 보도에 따른 반응이다.

토니 애벗 전 연방총리도 “있을 수 없는 일로 즉각 시정조치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센터링크 측은 이에 대해  “일부다처제나 종교적 관행에 따른 배우자관계는 대부분 합법적인 결혼 신고 절차를 밟지 않는 관계로 실태 파악이 어렵다”고 해명했다.

반면 관할 부처인 사회봉사부는 문제의 언론 기사에 대해 “입증되지 않은 자료를 근거로 작성됐다”고 공박했다.

사회봉사부의 대변인은 “복지 수당 심사때 분명 싱글인지, 배우자 수당인지가 분명히 가려지며 배우자가 다수인 관계로 더 많은 복지 수당을 받을 수 없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코나디 상원의원은 “자료 파악이 되지 않는다는 대단히 궁색한 변명으로 늘 일관하고 있다”고 일축하며 “센터링크뿐만 아니라 이같은 문제를 직면하기를 꺼리는 정치인들도 큰 책임이 있다”고 질타했다.

마티어스 코먼 재정장관은 “정부는 결단코 복수 혹은 다중결혼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며 “정부가 은연중에 이처럼 일부다처체를 용인하는 결과를 초래한 것은 결코 용납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코먼 재정장관은 “다문화주의 사회의 정치적 공정성 캠페인으로 인해 이같은 오류를 시정하지 않고 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항변했다.



Share

Published

Updated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