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탄 배출량 30% 감소”… 호주, 글로벌 협정에 서명

호주가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30% 줄이겠다는 글로벌 협정에 서명했다.

CHRIS BOWEN ENERGY PRESSER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부 장관 (AAP Image/Steven Saphore) NO ARCHIVING Source: AAP / STEVEN SAPHORE/AAPIMAGE

Key Points
  • 호주 정부, 메탄 배출량 30% 감소 글로벌 협정에 서명
  • 미국 주도, 122개국 동참… 미국, 영국, 유럽 연합 등 서명 마쳐
호주 정부가 향후 10년 안에 메탄 배출량을 30% 줄이겠다는 글로벌 협정에 서명했다.

글로벌 메탄 서약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으며, 구속력은 없지만 122개국이 동참하고 있다. 미국, 영국, 유럽 연합 등이 서명을 마쳤다.

참여 국가들은 이 협정을 통해서 여러 산업 분야에서 생성되는 온실가스 양이 감소되기를 바라고 있다.

크리스 보웬 기후변화부 장관은 “에너지와 폐기물 부문뿐만 가축을 포함한 농업 분야에서도 메탄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찾게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보웬 장관은 “협정에 동참으로써 호주가 미국, 브라질,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세계 주요 농산물 수출국들과 함께 배출량을 줄이기 어려운 분야에서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기회를 찾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지금까지 농업 분야에서 메탄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국가 재건기금을 활용해 자금을 지원해 왔다. 여기에는 가축을 키울 때 발생하는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 해조 산업 상업화에 8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정부는 가축에 대한 메탄 배출량 감소 프로그램 두 번째 단계에 돌입하며 배출량 감소 신기술에 500만 달러를 투입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국민당은 정부가 이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육류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고 비난했다.

호주 전역의 생산업자 7,000곳 이상을 대표하는 ‘기후 행동을 위한 농부(Farmers for Climate Action)’ 역시 정부가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농가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머레이 와트 농림부 장관은 육류 생산업자들이 이미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도전에 앞장서고 있다고 반박했다.

와트 농림부 장관은 “(소고기, 양고기, 돼지고기 등 살이) 붉은 고기를 생산하는 업자들이 2005년 이후 배출량을 59%나 줄이며 배출량 감소세를 앞서나가고 있다”라며 “뿐만 아니라 해당 업계는 2030년까지 육류 생산에 대한 탄소 중립을 이루기 위해 전념하고 있으며 그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길을 잘 가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와트 장관은 이어서 “전국농민연맹, 붉은고기 자문위원회, 호주축산위원회 등이 이번 서명을 지지했다”라고 덧붙였다.

호주축산위원회의 존 맥거번 회장은 “새로운 세금을 매기거나 가축 수를 줄이지 않는다면 우리는 연방 정부의 협정 서명을 지지한다”라며 “호주 쇠고기 산업은 가축 수를 줄이지 않고도 순배출 제로 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본 궤도에 올라서 있다”라고 말했다.

와트 장관은 앞서 뉴질랜드처럼 메탄 배출에 비용을 부과하는 방안은 배제한다고 밝힌 바 있다.
 

Share

Published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AAP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