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로 호주 해산물 수출업 ‘빨간불’

호주 해산물의 주요 수출국인 중국에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생물 수입에 대한 금지 조치가 내려지면서 최대 성수기를 맞은 호주 해산물 산업계에 비상등이 켜졌다.

Seafood bosses say help is needed quickly after a Chinese ban on live animal imports hurt sales.

Seafood bosses say help is needed quickly after a Chinese ban on live animal imports hurt sales. Source: AP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호주 해산물의 수출길이 막히면서 해산물 업계가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했다.

퀸즐랜드 해산물 수출회사인 맥케이 리프 피시 서플라이즈(Mackay Reef Fish Supplies)를 운영하고 있는 데이빗 카라치오 씨는 중국발 코로나 바이러스로 회사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는 음력설 시즌에는 항상 중국으로의 수출 물량이 늘어 매출이 급격히 올랐으나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수출 중단으로 회사가 자금난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카라치올로 씨는 "지금은 머드 크랩 수확 시기지만 수출이 중단된 상태이며, 국내 소비도 위축되고 있다”라고 호소했다.
Seafood sellers say Lunar New Year is normally a prime time for them.
Seafood sellers say Lunar New Year is normally a prime time for them. Source: AAP
카라치올로 씨는 천운이 따르거나 주 정부의 도움이 없이는 거리에 나앉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퀸즐랜드 해산물 산업 협회에 따르면 퀸즐랜드산 송어류인 무늬바리의 판매량도 급격히 줄면서 최대 40척의 보트가 어업을 중단한 상태다.

에릭 페레즈 대표는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해 중국의 생물 수입이 일시적으로 중단됨에 따라 수산업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Passengers arriving at the Beijing Station pass for thermography to check a body temperature.
Passengers arriving at the Beijing Station pass for thermography to check a body temperature. Source: Yomiuri Shimbun
중국과 동남 아시아는 퀸즐랜드산 송어 시장의 약 99%를 차지한다.

호주 해산물의 아시아권 수출길이 막히면 호주의 내수 시장에 해산물 물량이 과다해지고 이는 해산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이득일 수 있지만 어업 종사자 입장에서는 자금난에 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Share

Published

By SBS News
Presented by Sophia Hong
Source: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코로나 바이러스로 호주 해산물 수출업 ‘빨간불’ | SB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