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보이스 국민투표 부결
- 원주민 옹호단체의 향후 방향은?
- 일부 원주민 단체자, 공공 활동 중단 선언
지난 6주 동안 가열차게 펼쳐진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 찬반 캠페인의 결과 호주 국민 60%는 반대를 선택했다.
14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실시된 연방의회에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를 설립하기 위한 국민투표는 부결됐다.
15일 오전 8시 현재 전국적으로 합산 반대 표는 60%에 도달했고, 1차 관문인 각 주별 투표에서도 6개 주 모두에서 반대결과가 나왔다.
이로써 호주에서는 지난 1901년 연방창설 이후 총 20차례의 국민투표를 통한 45개의 헌법개정 조항 가운데 단 8개 조항만 통과된 기록을 남기게 됐다.
이 가운데 3개 조항은 1977년 국민투표에서 한꺼번에 통과된 바 있다.

Marcia Langton says Reconciliation is 'dead' and other Indigenous leaders have declared a 'week of silence'. Source: AAP / Lukas Coch
호주의 국민투표가 통과되기 위해서는 NSW주 등 6개 주 가운데 4개주 이상에서 과반 찬성표가 확보돼야 하고, ACT와 테러토리 등을 포함한 전국의 합산표가 다시 과반수를 넘어야 한다.
보이스 국민투표가 부결되자 저명한 한 원주민 지도자는 "모든 것이 사장됐다"는 반응을 다른 지도자는 "모든 공공활동에서 물러난다"고 말했다.
일부 원주민 지도자들은 앞서 "피터 더튼 당수가 '원주민 보이스가 부결될 경우 원주민들의 헌법적 지위 인정에 대한 헌법개정을 추진할 수 있다'는 약속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정치권에서는 자유당 연립의 강경기조를 고려할 때 '보이스 설립 방안'을 제외한 2차 국민투표 방안 역시 현실성이 없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또한 보이스를 헌법기구가 아닌 입법작업을 통한 법률기구로 신설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노동당 정부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원주민 보이스 지지 지도자들의 향후 방향은?
한편 이번 찬성 캠페인을 주도한 Yes23 단체는 당장 1주일 동안은 이번 결과에 대한 '암묵적 불만'의 표시로 침묵으로 일관할 것이라면서 "우리가 우리의 나라에서 어떤 현실에 처해있는 잘 알게됐다"고 언급했다.
원주민 단체들은 전국에 게양된 모든 원주민 및 토레스해협군도민 기들을 조기 게양토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즉, 이번 국민투표 결과에 '조의'를 표한다는 방침인 것.
단체들은 "부결됐지만, 원주민들에 대한 인종차별과 편견이 이번 국민투표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담론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는 언급도 내놨다.
원주민 지도자 마샤 랭튼은 "호주에서의 흑백화합은 사장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진정한 흑백화합을 위해 원주민 사회가 내민 손을 대다수의 호주인들은 이를 뿌리쳤다"고 말했다.
또 다른 원주민 지도자 노엘 피어슨은 "대외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의 원주민 세대의 모든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고, 이제는 새로운 세대에게 원주민 과거사 문제를 맡겨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사실상 이번 보이스 국민투표를 진두지휘한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비록 부결됐지만 이번 국민투표 과정을 통해 우리는 많은 진전을 이뤄낸 만큼 새로운 원주민 지도자들의 새로운 노력이 시작될 것"이라며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Noel Pearson has said he will withdraw from public life if Australia voted No. Source: AAP / Mick Tsikas

Peter Dutton and Jacinta Price have been at odds over a second referendum. Source: AAP / Jono Sear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