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의 일본 심의에서 유엔 인권 전문가들은 일본이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게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며, 일본의 철저한 보상을 촉구했다.
주류 역사학자들은 2차 세계 대전 당시에 20만 명에 이르는 여성들이 일본군 위안소에서 일하도록 강요받았으며, 대부분의 여성이 한국 여성이지만 중국과 필리핀 여성도 포함됐다고 말했다.
유엔 인종차별철폐위원회(UN Committee on the Elimination of Racial Discrimination)가 열리기 전 이틀간 진행된 심의에서 위원들은 일본이 피해자들에게 충분히 집중하고 있지 않다고 질타했다.
18명의 위원 중 한 명인 미국의 게이 맥두걸 위원은 “너무나 오랫동안 곪아 있던 상처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벨기에 출신 보슈이 위원은 "피해자 입장이 반영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일본 대표단 단장은 “일본 정부가 많은 사과와 보상을 거듭한 뒤, 충분한 사과를 했다”라고 주장했다.
주니치 이하라 대사는 “성 노예”라는 표현에 강한 반감을 제기하며, “일본은 전임 총리의 서신을 비롯해 피해 여성들에게 매우 정중한 사과를 했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 여성들에게 실질적인 지원을 위해 배상금을 지불하고, 의료적, 기타 지원을 위해 재단을 설립하고 최대의 지원을 늘렸다”라며"2015년 한일 합의로 양국 간에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인 해결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일본 정부는 이날 나온 지적에 대해 답변서를 제출해야 하며, 위원회는 이를 검토해 30일 일본에 대한 권고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With AFP and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