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주정부는 당초 매각 규모를 70억 달러로 예상했으나 예상보다 더 큰 액수에 매각이 확정됐으며, 이는 국내 항만 매각 사상 최대 규모다.
매각 조건은 50년 임대 형식의 운영권 보장으로 이번 계약은 10월 31일 최종 마무리된다.
인수자는 한국의 국민연금, 호주의 국부펀드인 퓨처펀드, 호주 퀸즈랜드주 투자청(QIC), 중국 국부펀드인 중국투자공사(CIC) 등이 구성한 콘소시움이다.
한국의 국민연금은 약 5억 달러 가량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매각으로 주정부가 당초 예상보다 27억 달러 가량의 추가 예산을 확보하자, 사용처를 놓고 열띤 토의가 이뤄지고 있다.
호주인프라확충 파트너십 브렌던 라이언 회장은 "이번 매각 자금을 모두 빅토리아 주내의 인프라 확충에 재투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빅토리아주 농민연맹은 "농촌 지역에 시급한 프로젝트들이 다수 대기 상태이며, 무엇보다 먼저 농촌지역 인프라에 투자가 선행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농민연맹의 데이비드 조쉰크 회장은 "항만과 주요 농촌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와 철도망을 확장 혹은 신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빅토리아주 교통협회의 피터 앤더스 위원장은 "멜버른 외곽을 잇는 노스 이스트 링크부터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야당의 매슈 기 자유당 당수는 "주내의 철도 지반 평지화 작업부터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다른 의원들은 "가정 폭력 예방", "택시 기사 보상 대책", "세인트 킬다 근처의 전철역 신설"등의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Sha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