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북 정상 회담을 취소한 후 북한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매우 유감이라며 언제든 미국과 만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담화를 통해 "돌연 일방적으로 회담 취소를 발표한 것은 우리로서는 뜻밖의 일이며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하고, “우리는 아무 때나 어떤 방식으로든 마주앉아 문제를 풀어나갈 용의가 있음을 미국 측에 다시금 밝힌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시기 그 어느 대통령도 내리지 못한 용단을 내리고 수뇌상봉이라는 중대 사변을 만들기 위해 노력한데 대하여 의연 내심 높이 평가하여 왔다”라고 말했다.
김계관 외무성 부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 취소 이유로 거론한 북한의 커다란 분노와 노골적인 적대감에 대해 해명하며,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방적인 핵 폐기를 압박해온 미국 측의 지나친 언행에 대한 반발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4일(현지 시간) 김정은 국무 위원장과의 회담을 취소한다고 밝히며, 북한의 공개적인 적대감을 비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6월 12일에 계획했던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취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제재를 통한 미국의 ‘최대 압박’을 이어가겠다고 선언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는, 북한이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 등을 향해 ‘무식하고 어리석다’고 공격하는 등 발언 강도를 높인 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애석하게도 당신의 가장 최근 발언에 나타난 엄청난 분노와 공개적인 적대감에 기초하여, 지금 시점에서 오랫동안 계획돼온 이 회담을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세계, 특히 북한은 영속적인 평화와 큰 번영, 부유함을 위한 위대한 기회를 놓쳤다. 이 기회를 잃은 것은 역사상 정말 슬픈 순간"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언젠가는 당신을 만나기를 고대한다. 이 가장 중요한 회담과 관련해 마음을 바꾸게 된다면 주저 말고 내게 전화하거나 편지해달라"고 밝혔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북미정상회담이 예정된 6월 12일에 열리지 않게 된 데 대해 당혹스럽고 매우 유감이라고 밝히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는 포기할 수도, 미룰 수도 없는 역사적 과제이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온 당사자들의 진심은 변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