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 울려퍼진 1919년 한국 독립운동의 함성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아 1919년 당시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 매체의 한반도 상황 기사 자료 발굴에 나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세안 지역회의(부의장 이숙진)가 27일 발표한 1차 자료에 따르면 독립운동의 상황은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에서 신속하게 언론에서 다뤄졌다.

Australian newspapers featured an article o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n 1 March 1919.

The roar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100 years ago was immediately conveyed to Australia and New Zealand, a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100년 전 한반도 구석구석에서 울려 퍼진 선조들의 3.1운동 함성이 호주와 뉴질랜드에도 신속히 전달된 사실이 확인됐다.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아 1919년 당시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 매체의 한반도 상황 기사 자료 발굴에 나선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아세안 지역회의(부의장 이숙진)가 27일 발표한 1차 자료에 따르면 독립운동의 상황은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에서 신속하게 언론에서 다뤄졌다. 

한반도의 독립운동 소식을 호주 땅에 가장 먼저 알린 언론사는 NSW주 알버리 지역의 ‘보더 모닝 몰과 리베리나 타임즈(1903-1920), NSW주 탬워스의 ‘데일리 옵저버’(1917-1920), NSW주 내륙 마을의 ‘메이틀랜드 데일리 머큐리’(1834-1939) 등 지방에서 발간되던 지역신문들이었다.
The article on the Korean indendence movement published in the Daily Observer on 15 March 1919.
The article on the Korean indendence movement published in the Daily Observer on 15 March 1919.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1919년 3월 15일자 NSW주 탬워스의 데일리 옵저버에 에 보도된 한국 독립 운동 소식.(Supplied by the NUAC ASEAN Assembly)

이들 매체 모두 3월 15일 한국의 3.1 만세운동이 한반도 전국 방방곳곳에서 벌어진 사실을 전했다.

뉴질랜드에서도 같은 날 오클랜드 스타(1870-1945) 등의 매체가 이 소식을 처음 타전했다.
The Auckland Star in New Zealand also published an article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its edition on 15 March 1919.
The Auckland Star in New Zealand also published an article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its edition on 15 March 1919.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오클랜드 스타지도 1919년 3월 15일 자 신문에 한국 독립 운동 소식을 전했다.(Supplied by the NUAC ASEAN Assembly)

오클랜드 스타는 “항일 운동이 한국에서 치솟기 시작했으며 독립을 요구하다 4천명이 체포됐다”고 비교적 상세히 전했다

본격적인 보도는 3월 18일 쏟아져나왔다.

놀랍게도 시드니와 멜버른은 물론 타스마니아, 남부호주, 퀸슬랜드주, 서부호주 등 사실상 호주 전역의 매체들이 3.1 만세 운동 소식을 다뤘다. 
The Sydney Morning Herald on 18 March 1919.
The Sydney Morning Herald on 18 March 1919 featured an article o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headline of 'Korea, Independence Agitation.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1919년 3월 18일자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한국, 독립 소요’라는 헤드라인을 내걸고 “뉴욕 타임즈의 북경 특파원이 한국에서 광범위한 독립운동이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했다. 

Daily Telegraph on 18 March
Daily Telegraph on 18 March 1919.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1919년 3월 18일자  데일리 텔레그라프
The Age on 18 March 1919
The Age on 18 March 1919 Source: The NUAC ASEAN Assembly
1919년 3월 18일자 디 에이지. 

호주 매체들은 미국 뉴욕 타임즈나 영국의 로이터 통신의 기사를 게재했지만 3.1운동을 바라보는 시각은 비교적 판이했다.

일부 매체들은 3.1 운동과 관련해 소요(disturbance), 불안정(unrest), 소동(trouble), 동요(agitation), 무질서(disorder), 폭동(riot),  봉기(revolt,  rising) 등으로 묘사했지만, 다수의  언론사들은 ‘일본에 맞선 한국의 독립운동’이라고 직시해 눈길을 끌었다.

호주의 대표적 유력 매체의 명성을 현재까지도 유지하고 있는 시드니 모닝 헤럴드는 ‘한국, 독립 소요’라는 헤드라인을 내걸고 “뉴욕 타임즈의 북경 특파원이 한국에서 광범위한 독립운동이 펼쳐지고 있는 것으로 보도했다.  도시와 마을 등에서 수천명의 시위대가 체포됐다.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이 전국 규모의 행진을 주도했다”고 보도했다.

멜버른의 디 에이지와 시드니의 데일리 텔레그라프 역시 똑 같은 내용의 기사를 실었지만 헤드라인은 “한국, 독립 모색”, “동요하는 한국”으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타스마니아 주의 머큐리 지는 ‘한국, 광범위한 독립운동’이라는 헤드라인을 내걸었다.

특히 1919년 당시 남부호주 아들레이드에서 발간됐던 ‘더 레지스터’(1901-1929) 지는 “한국 v.  일본…민족 운동 개시”라는 헤드라인 기사를 통해 “뉴욕 타임즈의 베이징 특파원 보도에 따르면 한국의 민족주의자들의 주도로 전역에서 독립 운동이 시작돼 수천명이 일본 당국에 체포됐다”고 전하면서 3.1운동이 민족 독립 운동임을 명시하는 한편, 대한제국의 상황을 소개해 눈길을 끌었다.

3월 18일 호주와 뉴질랜드 전역의 다양한 신문을 통해 언급된 3.1운동 소식은 4월초까지 이어졌다.  

4월 7일 자 브리즈번의 데일리 메일(1903-1933)은 상하이 발 로이터 통신 보도를 인용해 ‘한국, 100차례의 봉기로 수많은 희생자 발생’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내보냈다.

특히 이 신문은 “민족자결주의를 갈망하는 비무장 한국인들의 민주화 염원을 일본이 짓누르고 있다는 현지 선교사들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일본의 비공식 소식통들은 ‘칭타오와 상해에 본부를 둔 일부 볼셰비키 주의자들의 선동으로 폭력 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주장했다”고 전했다.

한편 3.1운동 관련 기사에서 절대 다수의 언론들은 한국을 ‘Korea’로 표기했지만 일부 언론은 ‘Chosun’으로 명기해 눈길을 끌었다.

민주평통 아세안 지역회의는 오는 4월 상해 임시정부 활동 사항에 대한 호주와 뉴질랜드 언론의 기사 자료를 추가 발표하며, 향후 전체적인 자료집을 발간할 계획이다.


Share

Published

Updated

By Yang J. Joo
Presented by Yang J. Joo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호주에 울려퍼진 1919년 한국 독립운동의 함성 | SB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