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코트 균열 위험 아파트 소유주들, “백만 달러 특별 부담금 지불 동의”

마스코트 타워즈의 집주인들이 백만 달러의 긴급 수리비 부담에 동의했지만 입주민들은 앞으로 최소 한 달 동안은 아파트로 복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It's been revealed that residents of Mascot Towers won't be able to move back for at least a month.

It's been revealed that residents of Mascot Towers won't be able to move back for at least a month. Source: AAP

구조적인 문제로 대피 소동이 벌어졌던 시드니 마스코트의 아파트 주민들이 앞으로 집으로 돌아가기까지는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19일 열린 빌딩 관리 업체 및 소유주들 간의 긴급 회의에서 집주인들은 백만 달러의 특별 분담금을 지불하는 데 동의했다.

마스코트에 위치한 홀리데이인 호텔에 모인 백 명 이상의 소유주들은 백만 달러를 지불하는 사안에 대한 투표를 진행해 94%가 동의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투표에 참여한 소유주 중 한 명인 브라이언 터커 씨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면서 “압도적인 표결이었고, 입주민들이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고 싶다”라고 말했다.

이 아파트 소유주 12명을 대표하고 있는 마이 플레이스 부동산 중개인 존 히긴스 씨는 “몇몇 입주민들은 한 달 동안 임시 거처에서 겨우 버틸 수 있지만 일부 주민들은 단 일주일도 더 버틸 형편이 못된다”라고 우려했다.

회의 현장에서는 일부 입주민들이 집에서 소지품을 챙겨나오도록 허가를 받을 경우 짐을 챙겨 나오는데 30분 이상이 필요하다고 요구하기도 했다.

또 일부 집주인들은 세입자에게 더 이상 렌트비를 받지 않고 본드비를 환불해 주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접근 불가 지역으로 통제됐던 ‘레드 존’ 구역 입주민들은 다음 주 말 정도에는 소지품을 챙겨나올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내다보고 있다.

지난 14일 주민 대피 명령이 실시됐던 마스코트 타워즈는 10년 된 건물로, 건물의 1차 지지 구조물과 외벽이 균열됨에 따라 전문가들이 안전에 우려를 제기한 바 있다.

주민 대피가 이뤄진 지 거의 일주일이 지나면서 건물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일부 징후가 있지만 한 달 안에 입주자들이 복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전문가들은 전했다.

이번 균열 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최소 한 주 이상의 정밀 조사 시간이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고 빌딩 관계자는 설명했다.

현재 두 번째 엔지니어 팀이 구조적인 점검를 위해 임명된 상태다.


Share

Published

Presented by Sophia Hong
Source: AAP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마스코트 균열 위험 아파트 소유주들, “백만 달러 특별 부담금 지불 동의” | SB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