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도시에 실제로 살지 않았다” 익명의 제보… 호주 이민 당국, 영주권 거절

영주권 신청자가 해당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다는 제보를 받고 이민 당국이 인도 출신 이민자의 영주권 발급을 거부했다.

Australian Visa

Source: SBS

영주권 신청자가 해당 지역에 거주하지 않는다는 제보를 받고 이민 당국이 인도 출신 이민자의 영주권 발급을 거부했다.

싱*씨는 학생 비자를 받고 2007년 호주에 왔다. 2012년에는 정해진 호주 지방 도시에서 2년 이상 거주하고 1년 이상 풀타임으로 일한 후 영주권을 받을 수 있는 487비자를 발급받았다.

싱 씨는 지난 2015년 7월 영주권을 신청했지만, 이민 당국의 담당자는 싱 씨가 2013년 2월부터 2015년까지 워동가(Wodonga)의 2개 집 주소에서 생활해 온 것이 명확하지 않다며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Rejected
Source: SBS
이후 싱 씨는 자신이 거주했다고 주장한 두 곳의 자택에 대한 임대 계약서를 비롯해 공공요금 영수증, 휴대전화 영수증, 고용 서류, 퇴직 연금 기록, 은행 명세서 등을 이민 당국에 제출했다.

하지만 익명의 제보자가 나타나 “싱 씨가 멜버른에서 불법적으로 살고 있다”라고 해당 부서에 제보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민 당국은 익명의 제보자를 통해 싱 씨가 지방 도시에서 지명된 고용주를 위해 일하지 않았으며 이민 당국에 알리지 않는 대가로 고용주에게 돈을 지불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또한 싱 씨가 지방 도시에 주택을 임대했지만 실제로는 멜버른에 살며 현금을 받고 경비원으로 야간 근무를 했다는 사실도 알게 됐다.

또한 싱 씨와 함께 살았다고 주장한 싱 씨의 친구는 같은 이유로 (멜버른에서 일하며 지방에 거주했다고 주장) 이민 당국에 의해 추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싱 씨는 이 문제를 호주 행정재판소(Administrative Appeals Tribunal :AAT)로 가져갔지만 재판 중에 급여 명세서와 은행 기록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추가로 발견됐다.

또한 싱 씨가 2008년, 2011년, 2012년, 2015년에 경비원으로 근무하기 위해 빅토리아 주 경찰의 면허를 받을 때 멜버른에 있는 집 주소로 신청을 했고, 고용주 역시 멜버른에 있는 기관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court order
Source: Public Domain
호주 행정재판소는 이민 당국의 결정을 지지했지만, 싱 씨는 다시 호주 연방 법원에 사법 심사를 요청했다.

호주 연방 순회재판소가 싱 씨의 주장을 받아들였지만 이민 및 국경 보호부 장관이 이 결정에 항고했고, 법원은 제보자의 정보가 정확하고 믿을 만하며 싱 씨의 증거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판결했다.

Share

Published

Updated

By Mosiqi Acharya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