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중저소득 95개 국가에 복제 허용’

화이자가 현재 개발 중인 알약 형태의 코로나19 치료제 ‘팟스로비드’의 복제약 제조를 허용함에 따라 전 세계 95개 중저소득 국가에 저렴한 코로나19 치료제가 보급될 수 있게 됐다.

Pfizer will not receive royalties from the generic manufacturers of its antiviral COVID-19 pill.

Pfizer will not receive royalties from the generic manufacturers of its antiviral COVID-19 pill. Source: Pfizer

Highlights
  • 화이자 코로나19 알약 치료제 ‘팟스로비드’, 국제 의약 특허풀’(MPP)과 복제약 제조 허용하는 라이선스 계약
  • 세계 인구 53% 차지하는 중저소득 95개 국가에 복제약 허용
  • 팟스로비드, 코로나19 성인 환자들에게 투여한 결과 입원과 사망 위험성 89% 감소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가 자사의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코로나19 알약을 전 세계 중저소득 국가에서 더욱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화이자는 전 세계 인구의 53%를 차지하는 중저소득국가 95개 국가에  자사의 코로나19 알약 ‘팟스로비드’를 보급하기 위해 복제약 제조를 허가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복제약 제조업체들은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팍스로비드 복제약을 제조해 중저소득 95개국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유엔이 지원하는 의료 단체 ‘국제 의약 특허풀’(MPP)과 복제약 제조를 허용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맺은 화이자는 빈곤국 치료제 생산에 대해 복제약 제조업체들로부터 로열티를 받지 않을 방침이다.
화이자는 복제약 허용 방침을 발표한 후 미국 식품의약국, FDA에 긴급 사용승인도 신청했다.

앞서 화이자는 '팍스로비드'를 심각한 질병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높은 코로나19 성인 환자들에게 투여한 결과 입원과 사망 위험성을 89% 감소시켰다고 발표했다.

임상 시험 결과 화이자 알약을 먹은 환자 중 0.8%가 병원에 입원을 했고 28일 이내에 사망한 사람은 한 명도 나오지 않았지만 위약을 먹은 사람 중에는 10명이 사망했다. 또한 위약을 먹은 사람의 입원율은 7%로 나타났다.

제네바에 본부를 둔 MPP는 중저소득 국가를 위한 의약품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일하는 유엔의 지원을 받는 국제기구다.

에스테반 버론 MPP 정책실장은 “이 약이 승인될 경우 몇 달 안에 시판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국경없는 의사회는 중저소득 95개 국가에 이라크와 리비아 등이 빠지고 코로나19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곳 중 하나인 브라질이 제외된 점이 유감이라고 밝혔다.

Share

Published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AFP,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