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착 가이드: 노인학대란 무엇이고, 어떻게 방지할 수 있을까

가족 관계에 문제가 발생하면 때로 노인 학대가 발생한다. 본인이나 지인이 노인학대 피해자라고 여겨질 경우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elder abuse

Source: PEXELS

호주에 이민 온 노인은 사회적 고립과 같은 문제에 도움을 구하거나, 학대 신고와 관련해 언어장애와 같은 추가적인 어려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는 이민 공동체를 지원합니다.  

노인 학대란?

Aged care
Source: Department of health


세계보건기구는 "노인학대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관계에서 노인에게 위해나 고통을 야기하는 일회적이거나 반복적인 행위 또는 적절한 조치의 부족"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노인학대는 전세계 인구의 최대 10%에게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보고되지 않습니다.
노인학대 사례 90%의 가해자는 가족 구성원입니다. 서부호주주의 노인 지원 단체, 에드보케어(Advocare)의 그랙 마니 CEO는 에드보케어와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본인의 자녀나 의붓 자식이 압도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영어나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한 노인은 가족이나 친구에 의해 노인학대를 받는 경향이 있다.

어떤 조짐이 있을까?

영어나 읽고 쓰는 능력이 부족한 노인은 가족이나 친구에 의해 노인학대를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Omar
Source: Pexels
노인학대를 인식하는 것은 때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학대를 감지하기 힘들 수 있고 의도적으로 감추거나 피해자가 이에 대해 대화하는 것을 꺼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인간관계가 넓지 않아 가족 구성원 한 두 명에게 의존하는 노인은 그들로부터 이용당할 수 있습니다.

알렉산더 아브라모프 노인복지 메니저(Aged Care Manage)는 노인을 충분히 이해시키지 않고 서명하도록 만드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가장 보편적 형태의 노인학대는 재정적 학대이다.

노인학대라고 하면 보통 신체적 학대를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지만 여러 가지 형태로 발생하며 여기엔 정신적, 재정적 학대와 방치도 포함됩니다.

가장 보편적 형태는 재정적 학대입니다. 노인으로부터 돈을 강탈하거나, 의지를 굽히도록 하거나, 은행 관련 서류에 노인의 서명을 위조하는 것 등이 될 수 있습니다.
Credit Cards
Source: Pixabay
어떤 사람들은 노인 학대에 재정관리 위임장을 이용, 재정 및 법적 문제를 대신 다룹니다.

알렉산더 아브라모프 노인복지 메니저(Aged Care Manage)는 언어 사용 능력은 나이 든 이민자의 인간관계를 제한하고, 재정적, 법적 결정에 대한 이해 역시 제한시킨다고 강조합니다.

도움을 받으려면?

Elder Abuse prevention and support
Source: NSW Elder Abuse prevention


호주에는 노인학대에 대한 의무 신고법은 없습니다.

하지만 각 주 및 테리토리는 노인학대 피해자를 지원하는 기관을 두고 있습니다. 본인이나 지인이 노인학대로 고통받는다고 여겨질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My Aged Care 웹사이트를 방문하시면 거주하는 주의 전화상담서비스 번호를 알 수 있습니다.
본인이나 지인이 노인학대로 고통받는다고 여겨질 경우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피해자가 영어구사 능력이 없다면 학대 신고는 더 어렵습니다. 언어지원이 필요한 경우 전국통번역서비스(TIS), 13 14 50번으로 연락하십시오. 전화상담서비스에 전화할 수 없는 경우 일반의, 종교지도자, 믿을 수 있는 친구에게 학대 사실을 털어놓는 것이 좋습니다.

인식 제고

Free from abuse
Source: NSW Elder Abuse prevention


유엔은 노인의 독립, 참여, 보호, 자기실현과 존엄성을 지지합니다.

유엔 총회는 주로 가해자가 가족 구성원인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 촉구 및 예방을 위해 매년 6월 15일을 세계노인학대인식의 날로 제정했습니다. 올해의 테마는 “우리는 노인학대를 멈출 수 있다”로 지역사회 이벤트에 참여하거나 스스로 이벤트를 조직해 인식제고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세계노인학대인식의 날에 보라색 옷을 입어 동참의지를 나타내거나 인식고취를 위한 행진을 계획하는 것입니다.

Find out more: 

모국어로 된 정보

유용한 링크와 연락처

Victoria: Seniors Rights
Helpline: 1300 368 821

Helpline: 1800 628 221

Western Australia: Advocare
Helpline: 1300 724 679 (Perth)

1800 655 566 (rural)

Helpline: 02 6205 3535

Northern Territory: Emergency Services
Helpline: 131 444

Helpline: 1300 651 192

South Australia: Aged Rights
Helpline: 08 8232 5377 (Adelaide)

1800 700 600 (rural)

Helpline: 1800 441 169

 


Share

Published

Updated

By Ildiko Dauda
Presented by Euna Cho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