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 정부가 경제 성장 견인과 함께 기술 이민자 직업군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술 이민 직업군에 대한 대대적인 검토 작업에 들어간다고 발표했다.
현재 500여 개의 직업군을 포함하고 있는 기술 이민 직업군 리스트 중 일부는 시장 수요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돼 온 것에 대해 고용 및 기술, 소상공 및 가족 사업부의 미첼리아 캐시 장관은 “이와 같은 우려에 대응해, 호주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에 장애물이 되지 않도록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기술 이민 직업군 검토는 호주 전역의 실질적인 필요 직업군과 지역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캐시 장관은 “기술 이민은 항상 호주 경제가 번영해 온 원동력의 일부이긴 하지만 인력이 부족한 직업군에 해당하는 제대로 된 기술 이민자를 확보해야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회계 연도에 8만 개 이상의 기술 이민 비자가 발급됐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분야는 ICT 관련직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기술 이민 직업군 리스트는 2013년 이후 업데이트 되지 않은ANZSCO (호주 뉴질랜드 표준 직업군 분류표)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주문형 데이터 사이언스(in-demand data scientists) 분야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직업군을 추가할 수 없었다.
호주 경제 개발 위원회의 재러드 볼 수석 경제학자는 특히 테크놀로지 부문의 고용주들이 인력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볼 박사는 “2013년부터 현재까지 노동 시장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고 새로운 직업군이 등장했지만 현재 기술 이민 직업군 리스트에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일부 수정해야할 부분들이 있다”라고 덧붙였다.
볼 박사는 또 스타트 업 등 테크놀리지 산업계가 고도로 숙련된 기술 이민자들을 고용할 수 있도록 새롭게 도입된 글로벌 인재 영입 계획(Global Talent Scheme)이 실시되고 있지만, 이 분야 직업군이 기술 이민 직업군 리스트에도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시 장관은 연방 정부의 기술 이민 정책은 호주 노동자들의 고용이 우선이라는 원칙을 전제로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이번 직업군 검토를 통해 산업계, 고용주, 노동 조합 및 개인과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호주 경제의 노동 시장 요구를 충족시키는 데 필요한 직업군과 관련해 연방 정부 정책에 자문을 제공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이해 관계자들과의 의견 수렴 과정이 진행 중이며, 내년 3월 직업군 리스트가 업데이트 될 예정이다.
호주 영주권 발급은 기술 이민을 통한 프로그램이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