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드니 홈리스 숙소 ‘포화’…위기 상황

시드니 홈리스들을 위한 시내 인근의 임시 비상 숙소가 거의 포화상태에 도달했다는 새로운 데이터가 발표되자 시드니 시장과 시드니 시내를 지역구로 하는 주의원은 한 목소리로 “위기 상황이다”라고 경고했다.

A homeless man packs up his tent in Sydney's Martin Place.

A homeless man packs up his tent in Sydney's Martin Place. Source: AFP

주말 발표된 시드니 홈리스 현황 자료에 따르면 시드니 CBD 인근의 노숙자 수는 현재 244명으로 2018년 8월 대비 9% 감소했지만 임시 비상 숙소 이용 홈리스 수는 592명으로 같은 기간동안 20% 상승했다.

시드니 CBD인근의 임시 비상 숙소의 총 수용인원은 전년 대비 38명 넘어선 수치다.

시드니를 지역구로 하는 무소속의 알렉스 그린위치 주의원은 보도문을 통해 “홈리스 문제가 위기상황에 도달했다는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 됐다”면서 “많은 홈리스들이 숙소 시설에 대한  도움을 바라지만 공공비상 숙소는 이미 포화상태가 됐다”고 우려했다.

670af9f7-e8ee-4f15-b794-d835016c95cc
Sydney's homelessness epidemic was brought to the forefront when Martin Place became a makeshift 'tent city.'
AAP

그는 “NSW주에서 노숙자의 악순환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홈리스들을 위한 안전하고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숙소 공급을 확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시드니 카운슬의 클로버 모어 시장은 “임시 비상 숙소의 포화상태는 정부와 비영리기구들이 운영하는 노숙자 지원 서비스가 나름 성공한 면도 있다”는 점에 방점을 뒀다.

하지만 클로버 모어 시장 역시 “안정적이고 장기적이며 감당할 수 있는 공공주거시설 공급이 확충되지 않으면 노숙자 문제는 반복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홈리스들은 절박하게 도움을 찾고 있고 하룻밤을 따뜻하고 편안히 보낼 수 있고 무료 급식을 받을 수 있는 임시비상숙소 시설을 알고 있는 상태임이 드러났지만, 이 같은 구조적 위기 상황에 임시처방으로 막고 있을 뿐임이 재확인됐다”고 주장했다.

 

a6b42b68-8cf9-4caa-b020-72a6d304a410
Sydney's Lord Mayor Clover Moore.
AAP

모어 시장은 한발짝 더 나아가 “시드니가 부유층의 전유물이 될 수 없다”면서 “다양한 지역사회의 필요에 맞는 다양한 형태의 주택 및 숙소 공급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변했다.

한편 지난 2016 인구조사결과 당일 저녁 당일 거리에서 잠을 청해야 했던 노숙자는 8000명이며, 그 외에 3만8000명 가량이 비상임시숙소 등에 의존하는 홈리스 상태로 파악됐다.


Share

2 min read

Published

Presented by Yang J. Joo

Source: SBS News, AAP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