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인에 지배되는 전 세계 수백만 여성과 소녀들의 삶과 신체

유엔인구기금(UNFPA)이 발간한 2021년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 '내 몸은 나의 것'(My Body Is My Own)을 통해 전 세계 여성들의 '신체 자율권' 실태가 조명됐다.

Women are seen protesting in Istanbul in March 2021 against a move to quit the European treaty on violence against women.

Women are seen protesting in Istanbul in March 2021 against a move to quit the European treaty on violence against women. Source: Sipa USA Murat Baykara / SOPA Images/Sipa

유엔인구기금(UNFPA)이 발간한 2021년 세계 인구 현황 보고서 '내 몸은 나의 것'(My Body Is My Own)은 폭력이나 강제적 위협 없이 보건권, 피임권, 성적 자기 결정권을 행사할 수 있는 '신체 자율권'(bodily autonomy)을 핵심 주제로 다뤘다.


전 세계 여성 신체 자율권 실태(UN 보고서)

  • 57개 개발도상국의 여성 절반: ‘신체 자율권’ 박탈
  • 57개 개발도상국: 대부분 사하라 사막 이남 국가들
  • 해당 국가의 15세에서 49세 여성 중 신체 자율권을 행사하는 여성은 55%에 불과
  • 보고서: 북한은 자료 부족으로 조사 대상 배제…성적 착취 심각성 제기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신체 자율권을 행사하는 전 세계 15∼49세 여성 비율은 55%에 불과했고, 평균적으로 전 세계 여성은 남성이 갖는 법적 권한의 75%만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전 세계 57개 국가에서 자행된 여성에 대한 강간, 강제 낙태, 처녀성 검사, 외음부 절단 실태가 드러났다. 

이들 국가들은 대부분 사하라 사막 이남의 국가들로 나타났다. 

또한 법 제도로 여성의 신체 자율권을 저해하는 나라도 많은 것으로 지적됐다.

20개국이 강간범과 피해자의 결혼을 주선하는 법을 시행 중이고, 43개국은 배우자 간 강간을 다루는 법 제도가 미비했다.

유엔인구기금 측은 "여성들의 신체 자율권 결여는 여성 및 소녀들 개개인에 대한 위해를 떠나 경제적 생산성, 기술 단절, 보건비용 추가 발생 및 사법제도의 폐해의 문제로까지 번진다"고 지적했다.
이번 보고서는 또 조사 대상 국가의  56%만이 성교육에 대한 정책이나 규정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Share

Published

Source: AFP, SB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