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북 정책 발표 ‘경제 제재, 외교적 압박 .. 협상의 문 열어둬’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한 경제 제재와 외교적 압박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은 새로운 대북 정책을 발표했다.

A man watches a live television program showi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during the day of the sun

A man watches a live television program showing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during the day of the sun Source: AAP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에 대해 경제 제재와 외교적 압박을 강화한다는 내용을 담은 새로운 대북 정책을 발표했다. 미국은 새로운 대북 정책에서 '선제타격'을 포함한 군사적인 응징은 언급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협상의 문을 열어뒀다.

미국 백악관 측은 이와 함께 북한을 테러 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국무, 국방장관, 국가정보국장, 합참의장 등 핵심 안보수장들은 상원의원 전원에게 정책 브리핑을 했으며 이후 하원으로 출석해 같은 내용을 브리핑했다. 북한 문제만을 위한 이같은 미 행정부와 의회의 만남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평가된다.

WATCH: US senators react to North Korea briefing



마크 토너 미 국무부 대변인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압박을 가하는 노력”에 대해 언급하며 “이에는 외교적, 경제적 방법이 모두 포함된다”라고 말했다.

미국이 북한을 외교적으로 압박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중국의 역할이 다시금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 민주당의 크리스 쿤스 상원 의원은 “중국이 북한의 가장 큰 우방이기 때문에, 중국의 도움 없이는 우리 외교적 노력이 성공할 수 없다”라며 중국 측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늘 발표와 관련해 고국의 YTN은 ‘군사 공격에 대한 언급이 제외된 점과 대화 가능성을 열어놓은 것들이 특징’이라고 분석했다. 오늘 성명에서는 미국이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적 비핵화를 추진하며 목표를 향한 대화의 문을 열어뒀다는 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트럼프 행정부가 직접적인 군사적 응징보다는 동맹국과의 공조를 통해 강력한 외교적 압박을 가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 With YTN

Australia respects allies' right to defend against North Korea: Bishop




Share

Published

Updated

Source: AFP, Reuters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