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반
- 1996년 첫 출시
- 누적 판매량 34억개
- 종류 17가지
- 간편함, 맛, 경제적, 신선함
, K트렌드 꿰뚫기 시작합니다. 궁금한 디제이, 궁디 전수진 리포터 연결돼 있습니다.
이번주 어떤 소식을 준비 하셨죠?
전수진 리포터(이하 리포터): 이번주 소개해드릴 이 제품을 제가 처음 마트에서 봤을 때 “어떻게 이런 제품을 출시했지?” “잘 될리가 없다” 라고 생각을 했는데 완전히 예상을 뒤엎었습니다.
반전의 반전을 거듭하며 대한민국의 트렌드로 자리잡은 제품이죠, 바로 햇반인데요. 오늘은 대한민국의 즉석밥 트렌드 햇반에 대해 소개 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진행자: 햇반이 등장했을 당시 느꼈던 문화적 충격이 아직도 생생한데요. 어떻게 “쌀밥을 즉석 식품으로 출시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저도 참 많이 했던 것 같아요.
전수진: 그렇습니다. 먼저 햇반에 대해 모르시는 분이 없으시겠지만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면, CJ제일제당에서 생산 판매하는 무균 즉석밥이죠.
미리 취사가 된 밥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전자레인지나 뜨거운 물에 데워서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밥인데요.
오리지널 햇반, 큰공기, 작은공기, 이천 명품쌀밥, 흑미밥, 오곡밥, 찰보리밥 등 그 종류만 해도 이제는 17가지나 됩니다.
진행자: 종류도 참 다양해요. 사실 이 햇반이 처음 등장을 했을 때 많은 기업에서 이렇게 생각 했을 거예요.
“저 상품 잘 안 팔릴 거나 반짝 히트상품으로 끝날 것 같은데…우리가 경쟁 상품을 만들 필요가 없겠구나…”
전수진: 햇반은 1996년에 출시 되자마자 엄청난 대박을 터뜨린 효자상품이긴 하지만 초창기 한국 시장에 이런 형태의 무균 즉석 밥은 햇반이 최초였기 때문에 말씀하시 것 처럼 오랜 기간 경쟁상품이 없었어요. 그 기간이 좀 긴 편인데. 햇반의 경쟁 상품이 나오기까지 5년이란 시간이 걸렸습니다.
2002년에 농심의 햅쌀밥, 2004년에는 오뚜기의 오뚜기밥, 2007년에는 동원 F&B의 쎈쿡 등이 출시가 됐죠.
진행자: 현재 햇반의 판매량은 엄청나겠죠?
전수진: 아무래도 핵가족화, 그리고 여성이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햇반의 인기는 더 늘어났죠. 첫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이 34억개를 돌파 했는데요. 지난 1996년 12월 출시된 이후 매해 두 자릿 수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도 햇반을 자주 애용했던 소비자의 한 사람으로 말씀 드리면 참 편해요. 그리고 중요한 건 제가 지은 밥보다 맛있고요.
진행자: 실제로 맛있어요… 간편한 것도 큰 장점이지만 햇반만의 맛을 즐기게 되더라고요… 뜨거운 햇반에 한국의 볶음 고추장을 얹혀서…
전수진: 다층 구조의 산소 차단층으로 된 햇반 용기와 뚜껑은 공기 유입을 차단해 부패를 막아주는데요. 반도체 공장에서만 볼 수 있는 클린룸에서 무균 포장해 안전하고 맛있는 밥 맛을 유지할 수 있는 겁니다.
그리고 CJ제일제당은 햇반의 당일 자가도정 시스템은 ‘갓 지은 밥맛’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력 중 하나인데요. 쌀은 도정하는 순간부터 품질 열화가 시작돼 맛이 떨어지게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햇반은 유일하게 자체 도정설비를 도입해 당일 도정한 쌀로 밥을 짓습니다. 그래서 밥 맛이 너무 좋은 거죠.
진행자: 맛도 있고 간편하고... 아무튼 이제는 일반 가정에서도 햇반을 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전수진: 밥을 하게 되면 가족과 밥을 먹을 때 밥 양이 애매해서 새로하기도 그렇고 또 안 하려니 누군가는 밥이 모자라고 할 때가 있어요.
그리고 밥은 시간이 조금 지나면 색이 변하기 때문에 밥 맛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걸 버리기도 그렇고 또 먹자니 맛있는 막 지은 밥이 먹고싶고…
그런 경우 많잖아요. 그래서 일반 가정에서도 햇반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이 늘었다고 합니다. 그 외에도 자취생, 1인 가정에서 햇반을 찾는 경우가 많죠.
진행자: 그렇죠. 말씀하신 것처럼 직접 밥을 지어먹게 될 경우 밥 양이 애매하기도 하지만 혼자 살면 밥을 직접 해서 먹는 게 정말 귀찮거든요. 그리고 일까지 하게 되면 밥을 지어서 먹을 시간이 아깝게 느껴지기도 하고요. 그런데 햇반의 경우 배가 고플 때 언제든 데워서 갓 지은 밥을 먹을 수 있으니 자취생과 1인 가구에 꼭 필요한 제품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드네요.
전수진: 그렇습니다. 그 외에도 여행을 가거나 특히 캠핑을 떠날 때는 이제 없어서는 안 될 필수품이 되어버렸죠. 그렇다면 햇반의 요즘 트렌드는 어떨지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제가 햇반의 종류가 17가지라고 말씀 드렸잖아요. 이번에 새로운 신제품 2종이 출시가 됐습니다. 바로 ‘햇반 곤약밥’ 신제품인 ‘햇반 현미귀리 곤약밥’과 ‘햇반 귀리 흑미 곤약밥’입니다.
진행자: 이름만 들어도 건강에 좋고 다이어트에 도움이 될 것 같은 제품이군요.
전수진: 그렇죠. 햇반 곤약밥은 곤약과 천지향미와 함께 가정에서 많이 먹는 현미, 귀리, 흑미 등 잡곡을 최적의 배합비율로 섞어 곤약의 식감뿐만 아니라 맛과 영양까지 고루 갖췄는데요. 이 두 제품은 식이섬유가 5g 이상으로 포만감이 높고요 칼로리는 각각 165, 160kcal다.
진행자: 예전에는 대부분 가정에서 흰 쌀밥이 올라왔다면 요즘은 다양한 잡곡밥을 먹는 경우가 늘어나긴 했어요.
전수진: 사실 저도 집에서 밥을 해 먹을 때 시간 여유가 되면 잡곡을 넣어서 먹기도 하거든요. 그게 귀찮을 때는 브라운 라이스라도 같이 섞어 밥을 짓곤 하는데요. 아무래도 한국은 건강 다이어트가 이제 필수가 되어 버렸죠. 그러다 보니 즉석밥도 그 트렌드에 맞게 끊임없이 변하고 성장하고 있습니다.
진행자: 잡곡으로 영양소를 고루 섭취하거나 밥을 먹으면서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났기 때문이겠죠.
전수진: 네 그렇죠. 그래서 잡곡밥 시장 규모는 지난해 777억원으로 2년 전 대비 2배 이상 커졌습니다. 그만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는 뜻이고 이 달라지는 소비 성향을 잘 고려해 햇반은 건강한 즉석밥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햇반의 또 다른 트렌드가 있는데요. 바로 MZ세대를 겨냥한 다양한 상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는 거죠. CJ제일제당은 마케팅, 연구 개발 등 다양한 팀에서 20~30대 직원 24명으로 이뤄진 사내 협의체를 2021년 말부터 가동 했는데요. 그래서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새롭고 나만을 위한 제품 기획에 몰입하기 시작했습니다.
진행자: 요즘 느낍니다. 대한민국을 이끌어 가는 세대가 바로 MZ세대구나… 이제 MZ세대만을 위한 기획 상품이 만들어지고 있다니 참 대단합니다.
전수진: 각 직무 별 노하우와 MZ세대의 목소리가 접목된 100여건의 신선한 아이디어가 쏟아졌고요. 그 중 맛 품질, 가격 등 상품화 가능성을 검증 받은 20여 건의 제품을 2022년 상품화 할 예정입니다. CJ제일제당이 최근 ‘베틀그라운드’로 유명한 게임 기업인 크래프톤과도 손잡고 제품을 출시한 것도 그 결과물이고요.
진행자: 저는 그게 참 신기했어요. 음식보다는 그 용기에 그려진 캐릭터를 보고 제품을 구입 한다는 게..이게 MZ 세대라 가능한 건지.. 개인의 취향인 건지.. 만약 저라면.. 예전에 좋아했던 만화 캐릭터가 음식 용기에 그려져 있다고 해서 그 음식을 구입할 것 같지는 않거든요.
전수진: 지난 8월 ‘햇반컵반 배틀그라운드’ 한정판 제품을 선보인 적이 있어요. 그러나 반응은 뜨거웠죠. 트렌드를 이끄는 MZ세대에 색다른 재미를 선사 할 식품업계와 게임업계의 만남이 신선하다는 반응도 있었고요. 그 용기에 캐릭터만 그려져 있는 게 아니고요. 이 제품 내부에 ‘배틀 그라운드’ 전용 화폐 G코인을 받을 수 있는 랜덤 쿠폰도 들어있습니다. 100코인부터 최대 만 코인까지 랜덤으로 지급되고요. ‘배틀그라운드’상점에서 등록 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게임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는 음식을 사면서 하나의 복권을 긁게 되는 재미까지 있으니 1석 2조의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거죠. 그 밖에도 스파이더맨 햇반, 토이 스토리 햇반 컵반, 마블 시리즈 비비고 죽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였습니다.
진행자: 햇반 이후 MZ세대들의 트랜드에 맞춰 차별화된 맛과 색다른 즐거움을 선보이기 위한 노력이 느껴집니다. 오늘은 즉석밥 시장의 고유명사로 자리잡은 햇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전수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