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장벽에 가로막힌 이민자 치매 노인들...

One in three older people in Australia are from a CALD background.

Source: Getty

전문가들은 치매 연구와 돌봄 서비스가 다문화 호주인을 더 잘 포함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문화적∙언어적으로 다양한 배경 즉 CALD(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diverse) 출신 호주인이 “불공평한 치매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는 전문가 경고가 나왔습니다. 

월요일 호주 의학저널에 게재된 한 글은 다문화 호주인이 치매 연구에 제대로 포함되지 않고 있고 이것이 현실 세계에 골치 아픈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시드니대학 리-페이 로우 부교수가 주도한 연구 보고서의 저자들은 호주에서 등록하고 진행 중인 치매 임상시험 94건 가운데 42건 즉 45%가 “영어가 유창하지 않은 환자를 배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이렇게 비영어 사용자가 연구에서 소외되면 최대한 적합한 임상 및 서비스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증거가 적을 수밖에 없고 이 때문에 CALD 호주인이 불공평한 치매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65세 이상 호주인에서 전체 CALD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30%가량입니다.

이들 연구자는 “이 나라 노인 세 명당 한 명이 CALD 출신인 것을 고려할 때 호주 연구가 표본에서 민족적 또는 문화적 다양성을 달성하는 데 집중하고 영어 능숙도가 낮은 사람의 참여를 지원하는 게 중요하다.”며 “적어도 출생국, 호주 도착 연도, 영어 능숙도,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 같은 CALD 변수에 대한 데이터가 분석과 그 후의 결과 발표에서 반드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치매 지원단체 ‘디멘시아 오스트레일리아( Dementia Australia)’에 따르면 447,115명의 호주인이 치매를 앓고 있고 거의 150만 명에 가까운 호주인이 그들을 돌보는 일에 관여하고 있습니다. 

치매 환자 13명당 한 명은 30-50대 사이 연령자입니다.

이 단체는 또 호주에서 치매로 인해 150억 달러가 넘는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주장합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언어 장벽에 가로막힌 이민자 치매 노인들... | SB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