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인도태평양사령관 "北, 모든 핵무기 포기할 것 같지 않다"

아시아 지역의 미군 최고위 지휘관이 북한의 비핵화에 이행 여부에 강한 회의감을 드러냈다.

Kim Jong Un examining North Korea's intercontinental missile

The head of the US Indo-Pacific Command has expressed doubts about N Korean denuclearisation plans. (AAP) Source: AAP

필립 데이비슨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은 "북한이 모든 핵무기와 생산능력을 포기할 것 같지는 않으며, 미국과 국제사회의 양보를 대가로 부분적인 비핵화 협상을 모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데이비슨 사령관은 이날 열린 미 상원 군사위 청문회에 출석, 미리 제출한 서면자료를 통해 "인도·태평양사령부의 북한 비핵화에 대한 평가는 미 정보기관의 입장과 일치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인도·태평양 권역의 5대 위협 중 첫 번째로 북핵을 꼽고 "우리는 지난 1년간 상당한 진전을 이뤘지만 작년 6월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약속한 최종적이고 완전하게 검증된 비핵화(FFVD)를 달성할 때까지는 북한은 가장 시급한 도전으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데이비슨 사령관은 지난해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북미정상회담을 "중대한 이정표"로 평가하고, 오는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개최되는 2차 정상회담 전망에 대해서는 "낙관한다"고 말했다.

이 비핵화, 특히 풍계리 핵실험장 터널(입구)의 가역적인(reversible) 폐쇄를 위한 몇몇 조치를 했지만,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많은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데이비슨 사령관은 지난해 2월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과 남북군사협정, 비무장지대(DMZ) 지뢰 제거, 한국전쟁 미군 전사자 유해 송환 등 관계개선과 관련, "이러한 조치들을 환영하지만 우리는 북한이 미국과 국제사회에 여전히 취하는 위협에 대해 경계해야 한다"며 "북한은 이 조치들의 대가로 미국에 상응조치를 요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협상 속도와 잠재적 이득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WMD) 실험으로 되돌아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길'을 경고했다"며 "우리의 군사 전투 준비태세는 북한의 어떠한 위협에도 최고의 억지력과 지렛대로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데이비슨 사령관은 대북 제재와 관련, "북한은 외교적 관여와 직접적인 제재 회피를 통해 미국이 주도하는 국제사회의 압박작전을 완화하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며 "인도·태평양사령부는 군사적 준비태세를 확립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에 따른 제재 시행을 지지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작전을 계속 지지할 것"이라고 다짐했다.


Share

Published

Updated

Presented by Yang J. Joo
Source: SBS News, AAP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
미 인도태평양사령관 "北, 모든 핵무기 포기할 것 같지 않다" | SBS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