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토리아 주정부, 강제 입양 피해자에게 공개 사과 10주년… ‘여전히 트라우마 겪는 어머니들’

화요일은 빅토리아 주정부가 강제 입양 피해자들에게 공개적으로 사과한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올해 초 다니엘 앤드류스 주총리가 400만 달러를 배상금 형태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최종안이 확정되지는 않았다.

Victoria's parliament house.

Between 1958 and 1984, tens of thousands of women who gave birth during this time had their babies forcibly removed and given up for adoption. Source: AAP / Con Chronis

Key Points
  • 화요일, 빅토리아 주정부 강제 입양 피해자에게 공개 사과한 지 10년째
  • 다니엘 앤드류스 빅토리아 주총리, 400만 달러 지원 발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갓 태어난 아들이 주정부에 의해 강제 입양된 지 50년이 지났지만 트리샤 레스터 씨는 여전히 깊은 슬픔과 상실감을 안고 있다.

1972년 멜버른에서 외동아들을 출산할 당시 레스터 씨는 18세 미혼모였다. 빅토리아 주정부는 당시 강제 입양의 잔인한 관행을 레스터 씨에게 적용했다.

레스터 씨는 비인간적인 시스템의 희생자인 수만 명의 빅토리아주 어머니들 중 한 명이다.

레스터 씨는 AAP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매일매일 그럭저럭 삶을 살아가고 있지만 여전히 가치관, 정체성, 엄청난 상실감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라며 “50년이 지나면 울음이 그칠 줄 알았는데 아직도 우는 날이 있다”라고 말했다.

20년 전 자신의 아이와 다시 연결됐고 수많은 상담 치료를 받았지만 70세인 레스터 씨는 여전히 고통과 후회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요일은 빅토리아 주정부가 강제 입양 피해자들에게 공개적으로 사과한 지 10년이 되는 날이다.

올해 초 다니엘 앤드류스 주총리는 400만 달러를 배상금 형태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최종안이 확정되지는 않았다.

이 기금은 위기 상담뿐만 아니라 강제 입양 피해를 입은 산모를 위한 고난 기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지역 사회가 피해자들을 지원하게 되며, 입양자의 친부모와 양부모 이름이 모두 포함된 통합 출생증명서에 대한 선택권도 제공된다.

하지만 레스터 씨는 이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레스터 씨는 “그들은 충분히 하고 있지 않다. 그들은 지금 무언가를 해야 한다”라며 “나는 강제 입양을 겪은 가장 어린 엄마들 중 1명이다. 80세가 넘는 다른 엄마들도 있으며 그들에게는 도움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빅토리아 주정부가 약속한 400만 달러는 2021년 빅토리아주에서 열렸던 강제 입양 의회조사에 대한 응답 성격을 띠고 있다. 당시 의회 조사에서는 1958년에서 1984년 사이에 강제 입양 관행이 널리 퍼져있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이 기간 동안 아이를 출산한 수만 명의 여성들이 아이와 강제로 떼어지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빅토리아 주정부 대변인은 주정부가 향후 몇 달 동안 지원 단체, 자금 지원 서비스 제공 업체, 어머니 및 영향을 받은 가족들에게 구제 계획의 발전 단계를 알리기 위해 연락을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변인은 “역사적인 강제 입양 관행으로 인한 엄청난 슬픔과 트라우마를 인정하며 수십 년 전에 이같이 잔인한 관행을 견뎌내야 했던 사람들에게 미친 파괴적인 영향을 인식하다”라며 “우리가 한 일을 되돌릴 수는 없지만 야기된 피해를 인식하고 의미 있는 지원을 할 수는 있다. 그것이 바로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Share

Published

Presented by Justin Sungil Park
Source: AAP

Share this with family and friends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