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언어 자녀 양육에 대한 오해와 진실은?

AAP

AAP Source: AAP

제2 외국어로 1개 언어 이상을 구사하는 어린이들이 학교에서 월등히 우수한 성적을 거두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논문이 발표됐지만, 어려서부터 다중언어 교육을 시키는 것이 영어 학습에 장애가되는 것은 아니라는 분석도 제시됐다.


아기가 두 살이 되면 일반적으로 수백개의 단어를 읊을 수 있게 된다. 부모가 각각 다른 언어적 배경을 지닌 다문화 가정에서 태어난 유아의 경우 응얼대는 단어는 극소수이지만 양쪽 언어를 대략 이해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들 다문화 가정의 자녀가 말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가 되면 가정에서 사실상 3개 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다문화 부부'는 고민에 빠져들게 된다.

"아이에게 3개 국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일까?"

"혹시라도 영어 학습에 장애가 되는 것은 아닐까?"

실제로 이 사회에는 "너무 어려서 이중언어나 삼중언어가 강요되면 자녀들의 언어 습득력이 둔화되고 인지력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는 통념이 존재한다.

하지만 다수의 연구논문에 따르면 결코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논박돼 왔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