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불안증, 관계문제, 중독, 한인 정신 건강 문제의 주요 이슈

Korean psychotherapist Elizabeth Lee and mental health counsellor Sarah Park join SBS Korean program.

Korean psychotherapist Elizabeth Lee and mental health counsellor Sarah Park join SBS Korean program. Source: SBS Korean program

엘리자베스 리 한인 심리치료사와 세라 박 한인 심리상담가와 함께 호주 한인 사회 정신건강의 현 주소를 짚어본다.


매년 10월 10일은 전 세계적으로 정신 건강의 날로 기념됩니다. 세계 정신 건강 연맹이 1992년 처음 제정한 이 날은 이후 전 세계 150여개국에서 정신 건강의 중요성을 환기시키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한 날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호주에서는 이에 더 나아가 NSW주와 빅토리아주 그리고 ACT에서 10월 전체를 정신 건강의 달로 삼고, 정신 건강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는 계기로 마련하고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 엘리자베스 리 한인 심리 치료사 그리고 세라 박 한인 심리 상담가와 함께 호주 한인 사회의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해서 짚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엘리자베스 리 한인 심리 치료가는 “2018년 통계에 따르면 호주 내에서 300만명 이상이 우울증과, 불안증을 가지고 있고 이는 인구 6명당 1명 꼴”이라며 “직장에서도 50% 이상이 정신 건강에 좋지 않은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다”며 심각한 현실에 대해서 설명했습니다.  

엘리자베스 리 한인 심리 치료가는 또한 “특히 이민자들일 경우 정신 건강에 문제가 생길 확률이 높다” 며, “언어 장벽, 스트레스, 이민정착에 대한 불안감 등의 요인이 이민자들의 위험성을 높힌다.”고 설명했습니다.

2000년부터 심리 상담을  해온 세라 박 한인 심리 상담가는  “한인 동포들의 경우 상담을 잘 하지 않고, 속 마음을 잘 털어놓고 얘기하지 않는 경향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도움을 받아야겠다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세라 박 한인 심리 상담가는 “심리 상담을 받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난 것에는  일반 의사의 진료 의뢰서로 1년에 10번까지 메디케어로  심리 상담을 받을 수 있다는 시스템적인 요인이 크게 영향을 미쳤고, 대부분 우울증이나 불안증, 부부관계 , 중독 등의 문제로 상담을 받는다”고 설명했습니다.  

[상단의 팟캐스트를 통해 전체 인터뷰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