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지키기 수당으로 통칭되는 호주정부의 1300억 달러 규모의 3차 경기 부양안에서 비정규직 직원들에 대한 혜택이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호주노조협의회 ACTU는 "이번 코로나 팬데믹 사태로 비정규직 직원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정부 차원의 구제 조치가 확대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호주 노조협의회 ACTU는 "코로나19 사태가 아니었다면 기존의 케쥬얼 일자리가 지속됐을 것이라는 합리적인 기대감이 충족될 경우 이들에 대한 일자리 지키기 수당이 지급돼야 한다"고 역설했다.
실제로 국내 주요 언론들도 이런 문제를 제기하며 "국내에 비정규직 직원 수가 110만명에 이르며 이들 가운데 다수가 정부가 내건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다"면서 정부의 조건을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하지만 연방정부의 입장은 단호하다.
노사부의 크리스티앙 포터 장관은 "일자리 지키기 수당은 오직 같은 고용주 하에서 12개월 이상 근로했던 비정규직 직원에게만 해당된다"고 재차 강조했다.
크리스티앙 포터 연방노사부장관은 "더욱 효율적인 방안이 있다면 정부가 채택할 수 있다"는 나름 열린 자세를 취하면서 "2주에 1500달러 씩 지급될 일자리 지키기 수당은 현 단계에서 호주의 실업 양산을 방지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이고 합법적인 방안이며 이는 분명 호주의 경제적 파장을 줄일 수 있는 생명줄이 될 가장 간편하고 선명하고 보장된 방안이다"라고 강변했다.
이런 가운데 패어팩스 매체들은 "크리스티앙 포터 장관이 관련 규정에 대해 호주노조협의회와 추가 논의를 할 것이다"라고 보도했지만 어떤 타협안이 도출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정부는 당초 발표를 통해 일자리 지키키 수당 지급의 조건으로 해당 사업체의 매출이 30% 이상 감소된 경우로 제한했지만 자선단체의 경우 15%로 기준을 완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