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보이스 찬반공방, 식민지 트라우마 대물림 공방으로 확산
- 린다 버니 “야권 정치인들, 차별적 편향적 발언 빗발친다”
- 자신타 프라이스 “영국의 식민지화 트로우마, 대물림 아니다”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가 10월 14일로 다가온 가운데 찬성과 반대 캠페인을 각각 이끌고 있는 원주민 출신의 두 여성 중진의원의 신경전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의 찬성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노동당의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반대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야권 정치인들의 차별적이고 편향적인 발언에 호주의 첫 주민들, 즉 원주민들이 상처를 받고 괴로워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최근 수개월 동안 인종차별 민원이 빗발치고 있다”면서 “보이스 반대 측의 캠페인이 인종차별을 부추기고 있다”고 직격했다.
그의 이 같은 격앙된 반응은 반대 캠페인을 이끌고 있는 자유당의 예비 원주민부 장관 자신타 나피진파 프라이스 연방상원의원이 “영국의 식민지 정책이 원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촉발된 것으로 풀이된다.
자신타 나피진파 프라이스 예비원주민부 장관은 “식민지화에 따른 부정적인 여파가 지속되지는 않았고 지금은 솔직히 긍정적 여파도 많은데 당장 식수나 식량 확보에 전혀 어려움을 겪지 않고 있다는 점만 봐도 그렇다”라고 말했다.
자신타 나피진파 프라이스 예비원주민부 장관은 이런 맥락에서 “식민지화에 따른 트라우마가 세대에 걸쳐 이어지지도 않았을 뿐더러 영국의 초기 정착자 가족들도 이곳에서 힘겨운 삶을 살았다”고 말했다.
그의 발언에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경악을 금할 수 없는 황당한 발언이다”라고 격분했다.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프라이스 상원의원의 발언에 수많은 원주민들이 충격을 받았고 더 솔직히 표현하자면 극도로 혐오스러운 발상이다”라고 직격했다.
원주민 지역사회도 극도로 반발하는 분위기다.
노던테러토리 앨리스 스프링스 토지협의회 측은 1928년 원주민 60명을 집단학살한 코니스톤 학살 사건에 관한 영상을 소셜미디어에 공유하기 시작했다.
관계 기관의 크리스티 파커 고문은 “자신타 프라이스의 발언은 매우 우려스럽다”는 반응을 내비쳤다.
크리스티 파커 고문은 “과거로 퇴보하는 것을 사실로 받아들인다면 더 큰 화를 초래한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자신타 프라이스 연방상원의원의 반대 캠페인에 합류한 또 다른 원주민 지도자 워런 먼딘도 프라이스 의원의 발언은 매우 소신에 찬 용기있는 발언이라고 말했다.
워런 먼딘은 “영국의 호주 대륙의 식민지화가 대를 이어 트라우마가 되고 있다는 주장은 오히려 흥미로울 정도인데, 그렇다면 유대인 대학살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은 어떻게 이스라엘을 건국하고 어떻게 지금 세계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인지 한번쯤 생각해보자”고 말했다.
워런 먼딘은 나름의 절충안으로 “이번 국민투표가 부결되면 호주정부와 원주민 사회 간의 조약체결 방안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자유당의 피터 더튼 당수는 앞서 “국민투표가 부결되고 자유당 연립이 정권을 탈환하면 원주민의 헌법적 지위 인정에 대해서만 국민투표를 다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와 함께 피터 더튼 당수는 자당의 자신타 프라이스 상원의원의 발언은 소신에 찬 합리적 주장이다”라고 옹호했다.
이 같은 분위기가 연출되자 원주민 헌법기구 보이스 국민투표 국면에 즈음해 호주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국민적 분열이 극도로 심화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