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요양원 인력난 사태 해결을 위해 연방정부가 최소 1700명의 군 병력을 지원키로 결정했으나 해당 분야 전문가들은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호주 노인 요양원 사태
- 노인 요양원 인력난 사태 ‘점입가경’
- 연방정부, 군병력 1700명 지원 결정
- 전문가들 “미봉책일 뿐 근본 문제를 해결해야”
- 다문화배경 노인 요양원 입주 노인 간병지원 열악
노인 간병 전문가들은 “해당 분야의 근본 문제 해결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내 주요 언론매체들도 대부분 “지속되고 있는 노인 요양원 및 양로원의 난맥상의 근본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면서 “군병력 지원은 미봉책일 뿐이다”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전국에 걸쳐 매주마다 간병인 수천명이 채워지지 않고 있는데 국병력 1700명이 14만여 명의 간병인 문제를 총괄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라고 경고했다.
이민자 노인들을 대변해온 호주다문화지역사회서비스의 엘리자베스 드로스드 위원장은 “특히 노인양원의 취약층인 다문화배경의 노인요양원 입주 노인들에 대한 간병지원은 매우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드로스드 위원장은 “다문화 지역사회에서 30년 넘게 봉사해왔는데, 지금처럼 심각한 인력난은 차마 경험해본 적이 없고 심지어 은퇴자들까지 간병에 동원되고 있을 정도지만 인력난은 여전하고 다문화 배경 노인들은 더욱 힘겨워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연방정부는 노인 요양원 인력난 사태가 점입가경으로 치닫자 7일 열린 국가안보회의를 통해 최대 1700명의 군병력 지원안을 의결했다.
이들은 8일부터 간호사, 의료 전문가, 일반 업무 지원 인력 등 각 10명으로 팀을 구성해 해당 분야에 투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