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2년 4월, 캔버라에 있는 이란 대사관에서 폭력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정치적인 문제로 시위자들이 대사관에 진입한 후 사무실에 불을 지르고, 대사관 정문 안쪽에 주차되어 있던 차들의 유리창을 산산조각 내 버렸습니다. 나사 드라이버를 들고 대사관 직원들을 공격하는 일까지 발생했습니다. 이 일로 인해 호주 정부는 대사관 내 파손된 기물과 대사관 직원의 부상에 대한 보상책으로 50만 달러의 세금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국립 문서 보관서에 의해 1월 1일 알려진 내각 기밀문서에 따르면 당시 정부는 보상금을 지불하는 국제 관행에 따르는 한편, 외교적인 보호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했다는 비난을 막기 위해 보상금이 필요하다고 느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란 대사관에 공격이 있은 후, 대사관 직원이었던 알리 부르게 씨는 호주 연방 경찰이 대사관의 경고를 무시했다며 대사관 건물
앞에서 항의를 하기도 했습니다. 알리 씨는 시위대의 공격이 일어나기 최소 7시간 전에 경찰 측은 이러한 공격 가능성을 인지하고 있었다며 이란 대사관에서 발생한 사태의 책임이 호주 연방경찰에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립문서 보관소가 밝힌 내용에 따르면 당시 이란 대사관 측은 대사관 직원의 부상과 스트레스에 대한 보상금으로 170만 달러 이상을 요청할 계획이었으며 내각은 이 문제를 놓고 심각한 논의를 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6개월이 지난 후, 담당 장관은 국가 보안을 위반한다는 의심을 받지 않는다면, 이란 외교관에 대한 비자를 거절하는 것에 동의했습니다.
1990년 초반. 폴 키팅 연방총리의 임기 초반이었던 당시는 밥 호크와 총리 자리를 두고 맞붙은지 얼마가 지나지 않은 때였습니다. 키팅 정부는 당시 경기 불황에 대한 영향에 놓여 있었으며 이를 해결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있었습니다. 당시의 예산 적자 규모는 150억 달러를 넘어섰고 실업률은 11% 이상으로 치솟았으며 이러한 실업률은 대공황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습니다.
호주 국립대학 ANU의 역사학자 니콜라스 브라운 씨는 당시만 해도 많은 결정의 중심에는 경제적인 고려 사항이 중심에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방송 다시듣기 (Podcast)를 통해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