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제25차 기후변화협약 총회는 시한을 이틀 넘겨 현지시간으로 15일 끝났지만, 탄소 시장 이행 규칙은 논란 끝에 내년에 다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196개국이 참가한 이번 총회는 탄소 시장 지침을 타결해 파리기후변화협정 이행에 필요한 17개 이행 규칙을 모두 완성하는 데 목표를 뒀습니다.
이번 회의에서 유럽연합(EU)과 기후변화로 침수 피해가 우려되는 군소도서국가 등 31개국은 탄소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파리협정보다 강력한, 산업화시대 대비 1.5도 이상 상승하지 않게 강제하는 감축안이 나와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한 바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의 피해를 가장 먼저 입게 될 군소도서국가연합은 호주와 미국, 캐나다, 러시아, 인도, 중국, 브라질 등 주요 배출국을 비판하며 “진전된 목표를 얻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겠다”고 강경한 자세를 취했지만 구체적 소득은 얻지 못했습니다.
유럽연합 이사회의 샤를 미셸 의장은 유럽 대륙만이라도 이같은 목표를 성취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We took this decision with respect for many concerns of different countries because we know that its important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different national circumstances and also different starting points. We think also it is important to show all the possible efforts in order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consequences.]]
샤를 미셸 의장은 "유럽연합의 이번 목표는 다양한 국가를 존중하고 여러 나라의 입장을 고려해 설정한 것으로 현 단계에서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호소했습니다.
하지만 구체적 합의안이 도출되지 못하자, 유엔과 유럽연합 등은 큰 실망감을 드러냈습니다.
중국 등 주요 개도국들은 파리협정 체제로 전환하기에 앞서 기존 교토의정서 체제에서 선진국들이 2020년까지 세운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기후 재원 1천억 달러 지원 계획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비판하며 이행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파리협정은 내년 만료되는 교토의정서를 이어받는 국제 조약으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모두에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는 데 방점을 둡니다.
그러나 이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놓고 개도국과 선진국 간, 또는 잠정 감축분 판매국과 구매국 간 입장이 엇갈려 국제 탄소 시장 이행 규칙에 합의하지 못했습니다.
올해 합의되지 못한 사항은 내년 영국 글래스고 총회에서 다시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상단의 팟 캐스트를 통해 오디오 뉴스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