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국가방역 체계를 사실상 결정하고 있는 연방 및 각 주의 의료책임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핵심 기준에 대한 일관된 지침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들 책임자들은 코로나19 청정지역, 코로나19 통제 지역, 코로나19 지역사회감염지역, 코로나19 감염 위험지역(hotspot) 규정에 대한 통일된 지침을 구체화할 방침이다.
이들 보건 정책 책임자들은 가장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코로나19 감염 위험 지역에 대해서는 "해당 지역사회 전염이 확산되고 있는 곳으로 최근 28일 동안 감염 경로가 불분명한 곳"으로 정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19 청정지역에 대해서는 "지역내 감염이 없고 최근 28일 동안 지역사회 감염 위험이 전무했던 구역"으로 정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코로나 19 통제 지역은 최근 28일 동안 지역사회 감염 사례가 발생했지만 보건당국이 감염경로를 파악하고 있는 상태일 경우 해당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보건 정책 책임자들은 18일 전국비상내각회의에서 이 방안을 논의하고 결론을 내릴 방침이다.
앞서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타 주 방문 제한 조치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는 코로나19 감염 위험 지역(hotspot) ‘선포’ 기준 역시 애매모호하다”면서 “전국적으로 이에 대한 원칙이 필요하다”라고 지적한 바 있다.
모리슨 연방총리는 "내일 비상내각회의에서 애매모호한 방역 규정을 정리하고 주경계선 개방이 가속화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는 "이같은 논란은 반드시 해소돼야 하고 점차적으로 타주 방문 제한 조치도 완화돼야 한다"면서 "당장의 전면적 완화조치는 아닐지라도 각 주별로 합리적이고 공정한 예외 조항을 마련해야 하고 어떤 경우에도 이중잣대가 적용돼서는 안되며 각 주별로 처한 상황이 다를지라도 코로나바이러스가 우리들의 삶 자체를 파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재의 상황은 안고가야 한다"고 말했다.
모리슨 총리의 이같은 발언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사회적 봉쇄조치가 길어지면서 국민적 피로감이 누적되고 있을 뿐더러 경제적 여파에 대한 우려가 깊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정치권에서도 “사회적 봉쇄조치가 ‘절대적 방역’이라는 이상적 접근보다는 ‘효율성’을 우선해야 한다”는 현실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호주에서는 다른 사람과 적어도 1.5미터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여러분이 사는 주와 테러토리의 조치와 모임 인원 규정을 확인하세요.
감기나 독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집에 머물거나 의사 혹은 ‘코로나바이러스 건강 정보’ 핫라인 1800 020 080으로 연락해 검사를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