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교육장관 “대학, 자유로운 토론 문화 보장” 촉구

freedom

freedom of speech Source: Pixabay

단 테한 연방 교육장관이 2020년 말까지 대학들이 언론의 자유 수칙을 도입하기를 바라고 있다.


연방정부가 대학 내 자유로운 토론 문화를 보장하기 위한 차원에서 대학들이 캠퍼스 내 이른바 “캔슬 문화(cancel culture)”를 종식시키기를 바라고 있다.

‘캔슬 문화’란 누군가의 생각이나 견해 또는 사고방식이 자신과 다를 경우 이를 철저히 무시하는 행태다.

단 테한 연방 교육장관은 호주대학연합(Universities Australia) 측에 연설을 통해 대학교육 부문 재편(reshaping) 계획의 다음 단계의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테한 장관은 2019년 연방정부에 제출된 3개의 검토 보고서가 제시한 권고사항에 기반해 재편한다는 계획이다.

재편 계획의 하나는 대학 캠퍼스 내 언론의 자유 수칙 모델이다. 이는 다른 의견을 무시하는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데 대해 자유 옹호자들과 우익 단체들이 우려를 제기한 데 따른 것이다.
The Morrison government wants universities to stamp out "cancel culture" on their campuses as part of a push to protect free speech.
The Morrison government wants universities to stamp out "cancel culture" on their campuses as part of a push to protect free speech. Source: AAP
연설 초안문에서 테한 교육장관은 “언론의 자유가 어떤 의미인지를 학생 대표 단체들에 설명하는 것은 총장을 포함한 대학 리더들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언론의 자유는 특히 자신과 정반대의 의견이 개진됐을 때 그 의견을 용인한다는 의미로, 아이디어 경쟁의 장에서 그 누구도 다른 사람의 견해가 맘에 들지 않는다고 해서 그 사람을 ‘철저히 무시(cancel)’할 권한을 가져선 안 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연방정부는 모든 대학이 언론의 자유 수칙(free speech code)을 2020년 말까지 도입하기를 바라고 있다.

정부는 학생들의 경험에 대한 여론조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그들의 모든 견해가 대학 내에서 용인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예정이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