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ghlights
- 오늘 연방내각회의, 코로나19 백신 프로그램 주제로 50세 이상 접종 및 대규모 백신 접종 계획 전면 검토
- 보건 당국, 퍼스와 시드니 해외 입국자 격리 호텔에서 격리자간 감염 사례 조사 중
- 연방정부, 빅토리아 주정부와 중국의 '일대일로' 합의안 전격 파기... 호주와 중국 외교 긴장감 악화 전망
- 일부 언론, 올해 발표될 예산안에서 중저소득층 세금 감면 혜택 1년 연장 가능성 보도
이 시각 간추린 주요 뉴스
- 호주의 코로나19 백신 프로그램이 오늘 연방내각회의에서 재검토될 예정이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와 주 및 테러토리 수장들은 50세 이상의 호주인을 대상으로 하는 접종 계획 및 대규모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관해 논의하게 된다. 빅토리아 주는 이미 70세 이상 백신접종을 위한 대규모 백신 허브를 세 군데 열고 시행에 들어갔다.
호주 내 백신 접종의 느린 속도와 백신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한 조사에 따르면 백신 접종 1단계 그룹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요양시설 거주자의 6.5%만이 백신을 접종했다는 결과가 발표됐다. 노동당은 연방정부가 스스로 세운 목표치에 못미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 퍼스와 시드니 격리 호텔에서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발견됐다고 보건 당국이 발표했다. 앞서 서호주 보건 당국은 두 명의 확진자가 해외에서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보고했지만, 그 이후 게놈 염기서열 분석 결과 격리 호텔인 퍼스 머큐어 호텔에서 전염이 확인됐다. 당국은 서로 맞은편 방에 있는 두 명의 손님이 서로 다른 시간대에 다른 국가에서 도착했음에도 동일한 바이러스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로 인해 음성 판정을 받고 호텔에서 격리 해제된 투숙객들도 다시 테스트를 받고 자가 격리 조치에 들어갔다.
한편, NSW 보건당국은 시드니 머큐어 호텔에서 격리 중인 귀국 여행객들 간의 코로나19 전염 가능성을 조사하고 있다. 귀국한 여행객들은 4월 3일 같은 항공편으로 호주에 입국해 호텔 10층에 있는 근처 객실에 투숙한 것으로 알려졌다.
- 연방정부가 빅토리아 주와 중국의 이른바 '일대일로' 합의안을 전격 파기하면서 호주와 중국의 긴장상황이 한층 악화될 전망이다. 연방정부는 "빅토리아 주정부가 중국정부와 체결한 '일대일로' 인프라 개발 합의는 연방정부의 외교정책의 목표 및 방향과 부합하지 않는다"면서 연방정부의 직권으로 파기처분하는 강경 조치를 내렸다.
이로 인해 호주 주재 중국 대사관은 이번 조치가 양국 관계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빅토리아 주가 중국정부와 체결한 네 가지 합의안 중에는 "무역벨트와 도로 건설계획"등이 포함된다. 호주정부는 앞서 지난해 12월 주정부가 외국 정부와 독자적으로 맺은 계약을 거부하는 권한을 연방정부 외무장관에게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 연방정부는 올해 예산안 발표에서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층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을 연장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연봉 4만 8천 달러에서 9만 달러 사이인 납세자들인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층에게 최대 1080달러의 세금혜택이 주어지는 세금 감면 정책은 올 6월까지로 계획돼 있다. 하지만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올해 5월 발표되는 2022년 예산안에서 약 70억 달러를 투입해 세금감면 조치가 1년 더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이같은 세금 감면 정책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일회성 경기 부양 조치로 실시된 바 있다.
- 유럽 국가들이 존슨앤존슨의 코로나19 백신을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럽의약품청이 백신을 승인함에 따라 일주일 후 백신 배송이 시작될 예정이다. 존슨앤존슨의 얀센 백신의 보급으로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코로나19 백신 접종은 더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 독일, 이탈리아, 체코, 네덜란드 및 프랑스는 얀센 백신을 접종하기로 했고, 미국은 오는 23일 보건당국이 접종 재개 여부를 판단할 예정이다.
호주 생활의 최신 정보를 더욱 쉽고 편리하게 여러분의 손안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SBS Radio 앱을 만나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