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주요 뉴스
- 남아공, ICJ에 이스라엘 ‘집단 학살’ 제소…팔레스타인계 호주인들, 호주 정부에 지지 촉구
- 데니스 리처드슨 전 ASIO 국장.. 2003년 내각 문서 호주국립기록관 이전 검토 이끌 예정
- 퀸즐랜드주 남동부 폭풍우 피해 복구...호주방위군 50여 명 투입
- 이란 솔레이마니 4주기 추모식서 폭발...103명 사망
- '쌍특검법' 고국 정부 이송…거부권 시점 고민
- 남아프리카공화국이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이스라엘을 집단학살(genocide) 혐의로 제소한 후 팔레스타인계 호주인들이 연방정부가 이를 지지할 것을 촉구했다. 호주는 앞서 러시아의 침공에 대응해 우크라이나가 국제사법재판소에 집단학살 혐의로 러시아를 제소한 후 성명을 발표하고 이를 지지한 바 있다. 이에 호주팔레스타인옹호네트워크(Australia Palestine Advocacy Network)는 가자지구 사태와 관련해 호주 정부는 동일한 입장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나세르 마쉬니 네트워크 회장은 '집단학살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협약'과 관련해 “이중 잣대”가 적용돼서는 안 된다면서 호주가 이스라엘의 집단학살을 종식시키려는 노력에 국제사회와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데니스 리처드슨 전 호주보안정보국(ASIO) 국장이 2003년 내각 문서의 호주국립기록관 이전과 관련한 검토를 이끌 수장으로 임명됐다. 독립 검토에서는 2003년 하워드 정부의 이라크전 참전 결정과 관련한 78건의 내각 기록물을 모리슨 정부가 이전하지 않은 방식을 검토해 2주 안에 보고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이들 문서는 나중에 발견돼 국립기록관에 전달됐다. 총리실은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지장 및 "명백한 행정상의 실수"로 인해 문서 이전에 실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앤소니 알바니지 호주 총리는 이라크전 참전 결정과 관련한 세부 내용을 호주 국민은 알 권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 지난주 퀸즐랜드주 남동부를 강타한 폭풍우로 인한 피해 복구와 청소를 위해 약 50명의 호주방위군 병력이 오늘 해당 지역에 당도할 예정이다. 비가 마침내 소강상태에 접어들면서 복구 노력에 박차가 가해지는 가운데 뉴사우스웨일스주와 빅토리아주로부터 주긴급서비스 요원들의 증원이 이미 이뤄진 상태다. 케빈 월시 퀸즐랜드소방긴급서비스 부청장은 피해 복구와 청소 작업은 몇 주 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미국 정부가 이란 솔레이마니 추모식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발과 관련해 미국은 물론 이스라엘과도 관련이 없다고 밝혔다. 이란 혁명수비대 가셈 솔레이마니 사령관의 4주기 추모식에서 폭발 사고가 발생해 103명이 사망하고 188명이 다친 데 대한 반응이다. 최근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 국면이 겹쳐 순교자 묘역으로 수만 명의 추모객 행렬이 이어진 탓에 인명피해 규모가 커졌다. 골람-호세인 모흐세니-에제이 사법부 수장은 오만한 세력의 지원을 받는 테러 분자들이 이란 국민에 대한 복수를 선택한 것이라면서 범인과 공모자를 신속히 추적해 기소하겠다고 다짐했다. 이란 언론과 지도부가 언급하는 '오만한 세력'이란 미국과 이스라엘을 의미한다.
- 고국에서는 '김건희 여사 특검법' 등 이른바 '쌍특검법'이 오늘 정부로 이송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표 피습 사건이 터진 가운데 이미 거부권 행사 방침을 밝힌 대통령실은 법안이 넘어오는 대로 구체적인 시점을 조율한다는 방침이다. 거부권 행사 시점을 미룰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지만 대통령실은 이재명 대표의 신상 문제와 법안은 별개라고 선을 그었다. 제1야당 대표에 대한 테러 사건 이후 대통령실은 내부적으로 자숙하는 분위기다. 하지만 '악법'에 대해선 예고한 대로 거부권을 행사하겠다는 방침이어서 특검법을 둘러싼 충돌은 불가피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