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추린 주요 뉴스
- 카타르 항공사 호주행 항공편 증설 불허한 정부 결정…의회 조사 실시
- 호주 6월 분기 경제성장률 오늘 발표…경제 성장세 둔화 이어질 듯
- 연방야당, 정부 노사관계 개혁법안 시행 시 광산 부문 위험에 처할 것 경고
- 호주 총리,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인도네시아 도착
- 미국,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 제공할 경우 “대가 치르게 될 것” 경고
- 카타르 항공사의 호주행 항공편 증설을 불허한 연방정부의 최근 결정에 대한 의회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정부 결정에 대한 조사를 촉구한 연방야당의 동의안이 단 1표 차이로 상원에서 통과됐다. 매트 카나반 국민당 상원의원은 정부가 일반 국민이 아닌 대기업의 편에 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연방야당은 정부가 콴타스의 이익을 위해 소비자를 희생시켰다며 정부와 콴타스 간 모종의 거래설을 주장한 바 있다. 최근 콴타스를 둘러싼 각종 논란이 이어면서 알란 조이스 콴타스 최고경영자는 은퇴를 두 달 앞당겼고, 바네사 허드슨이 오늘부터 그룹 최고경영자의 바통을 이어받는다.
- 호주의 6월 분기 경제성장률이 오늘 발표되는 가운데 경제 성장세 둔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3월 분기 호주의 경제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 0.2%에 그쳤고,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은 2.3%를 보였다. 이는 2021년 9월 분기 이래 가장 느린 분기별 성장세였다. 커먼웰스 은행은 오늘 발표되는 6월 분기 경제성장률을 0.5%로 전망했다. 짐 차머스 연방 재무부 장관은 국민들이 경제적 압박하에 있다는 것이 지출 패턴에서 보여진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 성장세 둔화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을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와 기준 금리 인상 여파로 분석했다.
- 연방야당이 정부가 제안한 노사관계 개혁 법안이 시행될 경우 광산 부문이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방정부는 착취 관행 근절을 목적으로 한 노사관계 개혁 법안을 의회에 상정했다. 피터 더튼 야당 당수는 호주미네랄카운슬(Minerals Council of Australia) 연설을 통해 해당 법안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비칠 것으로 보인다. 더튼 당수는 정부 법안은 인력공급업체(labour hire firms)나 계약을 통한 근로자 사용을 막음으로써 광산기업의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정부는 항공 및 광산 업계가 특히 저임금 근로자 사용의 타깃이 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가 아세안(ASEAN) 정상회의와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참석차 인도네시아에 도착했다. 아세안 정상회의가 오늘 자카르타에서 시작되는 가운데 알바니지 호주총리는 라오스, 동티모르, 말레이시아 정상들과 양자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알바니지 총리는 경제 협력과 쌍방 무역 강화를 위해 호주의 2040년까지의 동남아시아경제전략을 선보일 예정이다. 알바니지 총리는 해당 계획으로 호주의 역내 관계가 강화되고, 국가 이익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미국 백악관이 북한이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할 경우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김정은과 푸틴의 회담설을 포함해 북러 간 무기 거래 논의가 활발히 진전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방러가 성사되면 양국 모두에 ‘윈-윈’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북한은 무기 지원의 대가로 식량 원조를 제공받고, 한미일 3자 협력 강화로 고립돼 있는 상황에서 강력한 우군이 있다는 점을 전 세계에 알리는 효과가 있을 것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