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NAIDOC, National Aborigines and Islanders Day Observance Committee
- 보이스 지지 ‘예스 캠페인’ 발진
- 수만여 명 지지 행진 참여
- 원주민 사회, 20년 전에도 유사한 움직임…존 하워드 정부 ‘거부’
진행자; 7월에 호주는 NAIDOC 주간 행사를 펼칩니다.
NAIDOC은 ‘전국 원주민 및 군도민의 날 기념위원회( NAIDOC, National Aborigines and Islanders Day Observance Committee)’의 줄임말로, 현재는 원주민 역사와 업적을 기리는 주간인 ‘NAIDOC 주간’ 자체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NAIDOC 주간의 역사는 1920년대로 거슬러 올라가죠.
처음에는 애도와 항의의 날로 시작됐지만 지금은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군도민의 역사, 문화, 성취를 기념하는 일주일 간의 축제로 발전했습니다.
READ MORE

NAIDOC 주간이란 무엇인가?
READ MORE

한국어 원주민 존중 의례
특히 원주민 대변 헌법기구 '의회 보이스' 설립을 앞두고 있어 국민적 관심이 커질 전망입니다. 관련 소식 조은아 프로듀서와 함께 살펴봅니다.
보이스 국민투표 찬반 캠페인이 본격화하고 있죠?
조은아 프로듀서: 네, 지지자들의 ‘예스’ 캠페인이 먼저 테이프를 끊었습니다. 2일 일요일 호주 전역에서 수만여 명의 지지자들이 보이스 국민투표 지지 행진을 벌였고요, 시드니 등 25곳에서 지지 행사가 펼쳐졌습니다.
진행자: 본격적으로 세규합에 나선 거군요.
조은아 프로듀서: 그렇습니다. 더욱이 최근 보이스 지지율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각종 여론조사에 나왔잖습니까. 처음에는 지지율이 모든 조사에서 과반을 넘었지만 최근에는 각종 여론조사에 일제히 하락세를 보이면서 모두 50%를 밑돈 것이죠.
이런 점을 의식한 듯 원주민 지지단체와 보이스 지지자들이 본격적인 세규합에 나선 것으로 해석됩니다.
진행자: 지지 단체들의 슬로건, 다시 한 번 살펴볼까요?
조은아 프로듀서: 네. 물론 지지자들은 “연방의회 내에 보이스 설립이 헌법에 적시되도록 해야 한다” 면서 이를 위해 이번 국민투표에서 ‘Yes’도 답해달라고 호소했죠. 지지 행사에는 스포츠 스타와 연예인, 여러 소셜 인플루언서가 참여하면서 세과시를 했습니다. 또한 호주의 대기업체들, 특히 광산기업들이 보이스 국민투표 지지단체에 거액의 후원금을 답지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리오틴토, BHP, 웨스트파머스 등은 지지 캠페인 단체들에 각각 200만 달러의 성금을 답지했다고 합니다.
진행자: 이런 가운데 이미 20년 전에도 유사한 움직임이 있었던 정부 기록물이 공개됐다면서요?
조은아 프로듀서: 네. 20년 전 원주민 단체들이 비슷한 건의를 정부에 했지만 당시 존 하워드 정부가 이를 거부했다는 내용입니다.
당시 원주민 단쳉들이 원주민 지위를 헌법 전문에 적시하자는 제안을 제시했지만 거부됐다는 건데요.
기억하실 겁니다. 지난 2000년 5월 호주 국민 수십만 명이 흑백화합의 구호를 외치며 시드니 하버브리즈를 도보 행진하는 역사적인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
이를 계기로 이 같은 움직임이 점화됐고, 이를 문서화해 정부에 헌법개정을 요구했다는 것이죠.
현재 호주화합협회로 개칭된 당시 원주민화합협의회는 하워드 정부에 흑백화합을 위한 6단계 로드맵을 제시했다고 합니다.
이 가운데 대표적 핵심 사안은 ⊳빼앗긴 세대 정책에 대한 사과 ⊳원주민 지역사회와의 조약 체결 ⊳원주민 지위를 인정하는 헌법전문 개정에 대한 국민투표 실시 등입니다
즉, 현재의 논의되고 있는 보이스 헌법개정과 대동소이하다는 주장입니다.
진행자: 결국 해당 6단계 로드맵이 연방정부에 의해 부결됐다는 것이군요.
조은아 프로듀서: 네. 6단계 로드맵 제시 2년 후 하워드 정부는 이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작업을 벌였습니다. 그러나 내각 회의는 그 권고 사항을 거부키로 의결한 겁니다.
당시 상황은 2002년 연방 내각회의 회의록에 자세히 기록돼 있고, 그 내용이 원주민 단체들에 의해 이번에 공개된 겁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당시 존 하워드 정부가 거부한 논리적 배경은 무엇이죠?
조은아 프로듀서: 당시 내각의 의결 사항에 따르면 빼앗긴 세대에 대한 과거사 사과는 '부적절'하며 현 세대가 과거 세대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됐고요.
조약 체결 제안에 대해서는 "국론 분열을 가중시키게 되고 원주민들이 직면한 중요 현안을 해결하지 못할 것"이라고 적시했습니다.
헌법전문 개정을 위한 국민투표 실시 방안에 대해서도 당시 내각은 "1999년 국민투표에서 사실상 부결된 내용이다"는 확대 해석을 제시하며 거부했습니다.
즉, 공화제 국민투표를 통해 원주민 지위에 대한 헌법상의 인정 역시 거부됐다는 해석인 거죠.
내각회의 의결 사항을 최종 정리한 필립 러독 당시 이민 및 원주민부 장관은 특히 조약 체결이 성사되면 호주의 단일 국가 개념이 붕괴될 것이라는 점을 엄중 경고했습니다.
그는 또 "흑백화합 무드에도 찬물을 끼얹게 되고 법적 불확실성만 양산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진행자: 원주민 계 정치인이죠, 돌발적 행동으로 다양한 소동을 불러일으킨 리디아 소프 연방상원의원이 요구하고 있는 사항이 바로 조약 체결인데요… 이 점에 대해 당시 자유당 연립정부는 가장 단호하게 선을 그었던 거군요.
조은아 프로듀서: 그렇습니다.
진행자: 그렇다면 당시 존 하워드 정부의 대안은 있었나요? 흑백화합 차원에서 말이죠.
조은아 프로듀서: 네. 당시 존 하워드 정부는 원주민화합협의회의 건의를 거부하면서 대안으로 "원주민 지역사회 지원을 위해 역대 최대규모인 25억 달러의 예산지원을 통해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화합을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현재 보이스 설립을 주창해온 학자들은 "원주민들에 대한 모독"이라는 반응을 보인바 있다고 합니다. 25억 달러의 예산으로 원주민들에 대한 과거 역사를 매수하려 했다는 반발이죠.
한 학자는 "실질적 화합이라는 존 하워드 당시 연방총리의 발상은 자유당 연립이 추구하는 호주 식 국가주의, 호주국기, 그리고 모든 호주 상징물만 고수하겠다는 것이며, 다른 사람들이 다른 상징물을 내세우는 것을 수용할 수 없다는 의미다"라고 주장했습니다.
READ MORE

원주민 지위 헌법 명시 기회 20년 전 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