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근로자…국적·비자 지위에 따른 차별 심각

Workers are seen on the production floor at the Civmec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facility in Perth, Friday, March 10, 2017.

이주 노동자의 5분의 1이상이 국적 때문에 낮은 임금을 받거나 제안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Source: AAP / AAP Image/Dan Peled

이주 근로자의 5분의 1 이상은 국적 때문에, 3분의 1가량은 임시 비자 소지자라는 이유로 낮은 임금을 받거나 제안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 Points
  • 이주근로자 1200명 대상 조사
  • 응답자 5분의 1…"국적 때문에 낮은 임금을 받거나 제안받았다"
  • 응답자 3분의 1…"임시 비자 소지자라는 이유로 적은 임금을 제안받았다"
  • 이주 근로자에 대한 세이프가드 도입, 영주권 획득 경로에 대한 안전장치 강화 등의 필요성 제기돼
이주 노동자의 5분의 1이상이 국적 때문에 낮은 임금을 받거나 제안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NSW노조(Unions NSW)와 이주근로자센터(Migrant Workers Centre)는 1200명 이상의 이주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를 22일 발표했다.

이 조사에서는 또 응답자의 3분의 1가량이 임시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는 이유로 적은 임금을 제안받았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호주가 만성적 숙련 기술 인력 부족 문제에 직면한 시기에 이주 근로자의 상당수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NSW노조의 마크 모레 사무총장은 학생 비자 소지자들은 특히 그들이 가지고 있는 기술 수준에 훨씬 못 미치는 일을 하면서 착취를 당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모레 사무총장은 이주 근로자의 3분의 1 이상이 영주권자들의 입사 지원서에 우선순위가 부여된다는 말을 듣는다며 이 같은 시스템은 부당하다고 일갈했다.

그는 이주 근로자들이 국적이나 비자 지위 때문에 차별당하는 현실을 알바니지 정부는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고 말했다.

모레 사무총장은 “정부에게 필요한 것 중 하나는 이주 지위(migration status)에 기반한 차별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프레임워크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정 일을 할 수 있는 기술과 경험을 가지고 있고 적절한 비자를 소지하고 있다면, 그 일에 지원할 수 있어야 하고, 그 일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임시 비자를 소지한 이주 근로자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도입하고 부정직한 고용주에게 엄중한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주근로자센터의 매트 쿤켈 CEO는 비자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영주권 획득 경로에 대한 안전장치를 강화하는 것은 이주 근로자들이 직장에서 당하는 불공정 이슈를 제기할 수 있도록 하는 첫 번째 필수 단계라고 제안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