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한인 학자,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5개월 전 인터뷰 8년 만에 공개

President Roh Moo-Hyun

President Roh Moo-Hyun Source: AAP Image/AP Photo/Yonhap/Kim, Ju-sung

호주 국립대의 김형아 교수가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 후 목숨을 끊기 약 5개월 전에 노 전 대통령과 한 인터뷰를 최근 공개했다.


호주국립대의 김형아 교수는 지난 2008년 12월 8일 봉하마을을 방문해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최근 학술지 '저널 오브 컨템퍼러리 아시아(Journal of Contemporary Asia)' 온라인판에 노무현 대통령의 마지막 인터뷰와 한국 내 노무현 현상'이라는 제목으로 소개했습니다. 이 25쪽짜리 영문 평론(commentary) 가운데 17쪽이 노 전 대통령과 진행한 수 시간 동안의 인터뷰 내용으로 이뤄졌는데요.

인터뷰 내용은 노 전 대통령의 정치적 이상과 민주주의, 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와의 관계, 한일관계, 한국의 미래,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평가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노 전 대통령은 인터뷰 첫머리에서 자신의 탈권위주의적인 리더십이 정부 구조와 한국사회의 변화에 미친 영향, 임기 중 민주주의의 진전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습니다.

KBS 보도에 따르면 당시 노 전 대통령은 자신의 대통령 • 당선이 역사의 진전과 관련한 중요한 사건으로 임기 동안 중요한 성취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면서도, 임기가 끝나고 돌아보니 "어떤 진전이 있었는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노 전 대통령은 또 민주주의의 3대 요소로 ▲권력층의 규범 준수, 즉 법의 지배 ▲ 대화와 타협의 정치 문화 ▲ 자유와 평등을 꼽으면서 "민주주의의 진전을 진정으로 원했지만, 민주주의가 얼마만큼 진전했는지 의문"이라고 밝혔습니다.

인터뷰 말미에 김 교수가 '시민의 자발적 참여로 당선된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거듭 강조하면서도, 이것의 중요성을 잘 품지 못해 후회된다는 말이 매우 인상적'이라고 말하자, 노 전 대통령은 "나는 내 안에 많은 회의(doubts)와 많은 갈등(conflicts)을 가진 사람으로. 나 또한 확신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김형아 교수는 이번 인터뷰 공개를 미룬 것은, 인터뷰 내용이 정치적 동기나 자살 •등에 따른 편견이 아니라 그 자체의 가치에 따라 판단돼야 하고 정치적 논쟁에 휘말리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