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의 200개의 인권옹호 단체들이 최소 1백만 명에 달하는 난민 및 난민 희망자와 취약 계층을 연방정부의 재정 지원책에 포함시킬 것을 촉구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호주난민협회, 국제엠네스티 호주지부, 인권법센터를 포함한 약 200개의 단체들은 브리징 비자(bridging visas)로 머물러 있는 난민희망자와 임시비자 소지자들이 정부의 현 코로나19 구제책에서 배제된 바를 지적했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이들 단체들은 “호주와 전 세계가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우리 사회의 최취약 계층을 다루는 방식이 우리 모두의 보건과 웰빙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것은 그 어떤 때보다 자명하다”고 말했다.
이어 “누군가 극빈한 상태로 몰려 의학적 도움을 받지 못하고 코로나바이러스에 걸릴 위험을 최소화할 수 없다면 우리 모두가 상당한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Source: AAP
이들 단체들은 시민권 소지 여부나 비자 상태와 상관없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 호주에 있는 모든 이들이 메디케어(Medicare) 혜택을 받도록 해야 한다고 연방정부에 촉구했다.
또한 실업수당인 JobSeeker수당이 임시비자 및 브리징 비자 소지자들에게 확대되길 바라고 있다.
이들은 “메디케어 혜택과 기본적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지역사회 내 난민희망자들은 코로나19로 가장 큰 위험에 처한 이들”이라며 “자가격리와 같은 공공보건 요구도 따를 수가 없다”고 말했다.
대표적 유행병학자 마이클 툴 교수는 보건적 재앙 가능성을 해외에서 찾을 필요가 없다면서 우리 사회 내 취약계층을 잊는다면 그 재앙이 이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
툴 교수는 싱가포르, 카타르,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이주 노동자들 사이에 코로나19 확진자가 상당히 발생하면서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정부의 전반적 대응이 힘들어졌다고 지적했다.

Protesters show support for refugees in Australia (AAP) Source: AAP
그는 “이들 나라 모두에서 이주 노동자는 위생이 좋지 않은 과밀 주거환경에서 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임시비자 소지자와 같은 취약 계층이 사회적 거리두기나 손위생과 같은 공공 보건 자문을 따르지 못할 상황에 이르러 불익을 당하는 일이 없도록 호주는 반드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호주난민협회는 브리징 비자로 있는 많은 난민희망자와 가족들이 코로나 사태가 시작된 이래 일자리를 잃었다는 보고를 이미 받고 있다고 말했다.
폴 파워 CEO는 취약 계층이 계속 내버려진다면 상황은 단지 악화되기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른 모든 호주 국민과 마찬가지로 난민희망자들은 현재 일자리를 잃고 재정적 어려움에 처해 있다”면서 “기본적 지원 없이는 가족과 아동을 포함한 이들 취약 계층이 극빈자가 되거나 노숙자가 될 상당한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호주에서는 다른 사람과의 거리를 1.5미터 이상 유지해야 합니다. 함께 모일 수 있는 인원의 수는 여러분이 거주하고 있는 주와 테러토리의 조치를 따라주세요.
코로나19 검진이 현재 호주 전역에서 실시되고 있습니다. 감기, 독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의사에게 전화를 하거나, ‘국립 코로나바이러스 건강 정보’ 핫라인 1800 020 080으로 연락하세요.
연방 정부의 코로나19 추적 앱(COVIDSafe)을 여러분의 핸드폰에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SBS는 호주 내 다양한 지역사회에 코로나19 뉴스와 정보들을 63개 언어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bs.com.au/language/coronavirus 을 방문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