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Examines: '의욕과 현실의 격차' 대부분의 사람들이 증오 행위에 개입하지 않는 이유

Stepping In Header.png

While most people say they would take action if they witnessed hate or harassment, many choose not to intervene in the moment. Credit: Getty Images/SBS

아론 씨는 인종차별을 목격했을 때 '즉각적인 결정'을 내리고 개입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증오나 괴롭힘을 목격했을 때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합니다.


에런 테오 씨는 아시아계 남성에게 가해지는 인종차별적이고 폭력적인 공격을 목격하고 개입했습니다.

"당시 가장 시급한 문제는 상황을 진정시키고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 물리적 거리를 두는 것이었습니다. 다행히 제가 개입한 후, 주변에 모여 가해자를 막아준 사람들이 몇 명 있었습니다."라고 애런 씨는 말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도 그런 상황에서 똑같이 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연구 결과는 그렇지 않습니다.

웨스턴 시드니 대학교의 케빈 던 교수는 방관자 행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던 교수는 사람들의 의욕과 실제 행동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고 말합니다.

"설문조사에서 사람들에게 행동을 취할 의향이 있는지 물으면 70%나 60%대 후반으로 나타납니다. 동일한 사람들에게 그런 행동을 해본 적이 있는지 물으면 30%도 안 됩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공격 대상이 될까봐 두려워하거나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르고, 사건이 인종차별적인 것인지 확신할 수 없어서 개입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던 교수는 우리의 의욕과 실제 행동 사이의 간극은 "사람들로 하여금 다양한 형태의 행동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한다면, 반인종차별적 행동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번 에피소드 "증오 이해하기(Understanding Hate)"에서는 괴롭힘이나 증오를 목격했을 때 우리가 어떻게 안전하게 개입할 수 있을지 살펴봅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다시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매일 방송되는 한국어 프로그램 전체 다시듣기를 선택하시려면 이곳을 클릭하세요. SBS 한국어 프로그램 팟캐스트는 여기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