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국민들에 대한 연방정부의 강력한 해외 출국 자제령 및 금지령에도 불구하고 출국하는 호주인들의 수가 크게 격감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방정부가 지난 3월 18일 외국인들의 호주 입국 금지 조치에 이어 자국민들의 출국 자제령을 발효했지만 이후 1만6000명이 국외로 빠져나갔다.
스콧 모리슨 연방총리는 “정부의 명령을 무시한 것인 만큼 귀국시 의무적으로 시행되는 14일 자가 격리 조치 등의 개인방역 비용을 모두 자비 부담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연방내무부 자료에 따르면 호주의 여행 경보가 최상위인 4단계로 격상된 3월 18일 이후 3월30일까지 약16000명이 해외로 출국했다.
특히 정부가 3월 24일에는 공식적인 해외여행금지령을 발효한 이후에도 3800명이 출국한 것으로 파악됐다.
물론 이들 출국자들은 정부에 출국 금지 예외 사유서를 제출해 출국허가를 받은 경우다.
출국 금지 예외는 평상시 해외에서 거주하는 경우, 해외에서 긴요한 업무를 맡고 있는 경우 그리고 동정적 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된다.
현재 모든 입국자는 도착과 함께 정부가 마련한 호텔 등 단체 숙박 시설에 14일간 의무적으로 격리조치된다.
READ MORE

호주정부, 모든 호주 입국자 14일간 자가격리 시행
서부호주는 가장 먼저, 이들의 개인 방역 비용을 각자에게 부담시키는 방안을 현재 검토중이다.
서부호주의 마크 맥고완 주총리는 “발리이든 태국이든 영국이든 이런 시점에 해외로 나간 것은 매우 무책임한 행동으로 책임에 직면해야 한다”고 엄중 경고했다.
연방노동당의 예비내무장관 크리스티나 케넬리 상원의원은 “호주인 입국자들의 방역 책임을 각 주와 테러토리 정부에 떠맡긴 것 자체가 모순이다”라고 지적하는 한편 국민 개개인이 정부의 여행 금지 조치를 준수해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