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입국자에 대한 2주간의 의무적 호텔 자가 격리 시스템의 대안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다.
호텔 자가 격리 시스템의 일부 맹점은 빅토리아 주코로나19 재확산 사태의 온상으로 지목될 정도로 허점이 지적돼 왔다.
하지만 연방정부는 지금도 각 주와 테러토리 정부가 호텔 자가 격리 수용 가능 인원을 늘려야 해외에 발이 묶인 호주 교민들의 귀국 문호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해외 호주교민들은 “현행 호텔 자가 격리 시스템을 폐지하고 좀더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대체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일부 전문가들도 “호주에 가족이 있고 친지가 있는 호주인들에게 호텔 자가 격리를 강요하기 보다는 정부의 ‘추적 시스템’을 강화해 이들이 가정이나 친지 집에서 자가 격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호주에 입국하지 못하고 해외에서 발을 구르고 있는 한 호주인 남성도 “대만 등 다수의 국가들은 귀국하는 자국민들에게 전자 팔찌나 심카드를 사용해 가정에서의 자가 격리를 허용하고 있다”고 상기시키며 “왜 호주만 굳이 이토록 호텔 자가 격리에 연연하는 것이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다른 해외의 호주 교민도 SBS 뉴스와의 대담에서 “정부의 낙후된 정책으로 인해 일부 호주인들이 최소 6개월에서 거의 10개월 째 생이별의 고통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민자 단체들도 “정부의 낙후된 정책으로 인한 희생양의 대다수는 이민자들인데,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2주 호텔 자가 격리 정책이 2021년으로 이어질 것이 확실시되는 만큼 이제는 현실적으로 상식적인 방역 정책을 즉각 도입해야 할 시점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민자 단체들은 “귀국하는 호주 교민들도 정부 이상으로 가족과 주변 사람들 그리고 지역사회의 안전을 우려한다는 점을 명시하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