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에는 750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그 가운데 10만 명가량은 호주 시민권이 있는 이중국적자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호주 시민권자는 SBS 뉴스와 한 인터뷰에서 “홍콩 시민의 일원으로 언젠가 이 일이 일어날지도 모른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지만, 그 시기를 알 수 없다. 언제 어떻게 이 일이 일어날지, 또 어떤 선택이 있을지를 둘러싸고 혼란이 있다.”라며 우려를 표했다.
중국 국적법에 따라 홍콩에서는 이중국적이 인정되지 않고 당국은 법적으로 이중국적자에게 영사 접촉을 허용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해당 규정이 실제 적용되지 않았다.
홍콩대학 에릭 충 법학 교수는 “과거에는 실제로 이중국적자가 곤경에 처할 경우 영사 보호를 받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변했다.”고 설명했다.
캐리 램 홍콩 행정장관은 지난 9일 처음으로 “중국 국적을 포기하고 국적 포기를 승인받은 자가 아니라면 홍콩에서 중국 국적자로 간주되고 따라서 영사 보호를 받을 자격이 없다.”라고 해당 변경을 공식 확인했다.
영국 정부는 이미 월요일 업데이트된 여행 조언을 통해 영국 시민권자에게 홍콩이 이중국적을 인정하지 않고 홍콩에서 영사 조력이 제한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캐나다는 최근 캐나다 국적이 있는 이중국적 수감자가 홍콩 당국으로부터 하나의 국적을 선택하도록 요구받은 사실을 통지받은 후 우려를 표했다.
캐나다 외무부는 SBS 뉴스에 다른 나라의 이중국적자도 같은 요구를 받은 사례를 인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호주 외무부는 SBS 뉴스 질문에 답변하지 않았지만 지난 10일, 중국 국적법 적용으로 홍콩에서 더는 이중국적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홍콩에 대한 여행 조언을 업데이트했다.
[상단 이미지상의 재생 버튼을 클릭하시면 팟캐스트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