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발표된 연방예산안에 따르면 정부의 당초 방침대로 워킹홀리데이 참가자들의 모든 소득에 대해 오는 7월1일부터 무려 32.5%의 단일세율이 적용된다.
그간 정부는 워킹홀리데이 참가자들에 대해 연 소득 1만8200달러까지 소득세를 면제하고 그 이상에 대해 누진세율을 적용해 왔다.
연방정부는 워홀러들의 연평균 소득을 1만5천 달러로 추산하고 이른바 백패커 택스 도입으로 향후 3년 동안 5억4천만 달러의 세수를 거둬들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의 이번 방침에 대해 워홀러 관련 단체들은 일제히 '세금폭탄'이라며 반발했다.
또한 국내 농업 및 관광업계는 백패커 택스가 결국 해당 분야의 노동력 부족난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우려했다.
뿐만 아니라 일부 언론은 "임금을 현금으로 받는 캐시잡(cash job)만을 늘리는 부작용을 낳을 것"이라고 지적하거나 "이미 캐시잡에 종사하는 워홀러들이 다수라는 점에서 결국 호주의 농가만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호주에는 한국을 비롯한 워킹홀리데이 비자 제도 체결국가로부터 매년 24만명의 워홀러들이 방문하고 있다. 이중 4만명 이상이 과일 수확기에 맞춰 과수농가에 취업하며 외딴 지역의 관광업에 종사하는 워홀러도 수천명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