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주민 ‘목소리’ 헌법기구 설립 제안에 정치권 ‘설왕설래’

Prime Minister Anthony Albanese delivered a speech to Indigenous leaders, cat the Garma Festival ahead of a referendum on an Indigenous Voice.

Prime Minister Anthony Albanese delivered a speech to Indigenous leaders, cat the Garma Festival ahead of a referendum on an Indigenous Voice. Source: SBS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가 자신의 임기 안에 호주 원주민을 대변하는 의회 내의 헌법기구 설립 방안을 국민투표에 부치겠다고 전격적으로 밝히면서 정치권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원주민 단체들은 앤소니 알바니지 연방총리의 제안에 일제히 환영의 뜻을 보였고,녹색당은 원주민을 위해 더욱 획기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자유당과 보수진영은 일단 세부 내용을 검토해야 한다며 신중한 모드로 돌입했다.

한 인권단체의 대표는 “여러 성향의 단체들이 모두 한 목소리로  진일보할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면서 “국민투표에서 노동당 정부의 원주민 대변 헌법기구 설립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향후 2000만 달러 가량의 기금이 조성돼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개진했다.
자유당 소속의 원주민 출신 정치인 워런 먼딘은 “민간 차원에서 적극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원주민 출신인 잉지야 구율라 노던 테러토리 의원은 그러나 “단순히 의회 내에 원주민 대변 기구를 신설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사항은 원주민과 비원주민 간에 조약을 체결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잉지야 구율라 노던 테러토리 의원은 “원주민 목소리 대변기구만으로는 무의미하다”라고 단정지으며 “해답은 조약체결이고 조약체결만이 원주민들에게 힘을 부여하며 정부에 진정으로 원주민들의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녹색당은 “정부 측과 일단 논의를 펼쳐 나갈 것”이라면서도 더욱 진일보적인 조치의 필요성에 방점을 두는 분위기다.

녹색당은 원주민 사회와 정부간의 조약 체결 및 공화제 연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린다 버니 원주민부 장관은 2017년 5월 발표된 울루루 성명에 담긴 내용이 전면 수용되기를 바란다면서 원주민 과거사 진상 규명 및 정부와 원주민 간의 조약 체결을 위한 마라카타 위원회 설립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마카라타는 “투쟁 후 함께 모인다”는 뜻의 원주민 욜랑구어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