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소매 절도’를 정당화하는 인식이 세대별로 크게 엇갈린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모나시대학교가 지난 6월 호주 성인 104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응답자의 약 4명 중 1명(27~36%)은 일부 형태의 소매 절도, 예를 들어 셀프 계산대에서 물건 계산을 누락시키기, 더 싼 품목으로 스캔하기, 가격표를 바꾸는 행위 등을 “어느 정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85~89%는 이런 행동이 불법임을 인지하고 있었지만, 세대 간 인식 차가 뚜렷했습니다.
55세 이상 응답자의 90%는 ‘물건을 훔치는 행위는 절대 정당화될 수 없다’고 답한 반면,18세에서 34세 젊은층에서는 절반 이하인 46%만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점원에게 가격이 없는 물건에 대해 속이는 것(34%), 보상을 위해 부정적인 리뷰 남기기(40%), 계산 착오로 이득을 본 경우 말하지 않는 것(60%)도 일부는 “괜찮다”고 답했습니다.
문제는 어떤 형태로든 소매점 절도를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호주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연구 책임자인 스테파니 아토 교수는 “이런 행동이 불법이라는 인식은 있지만, 실제 행동에서는 점점 더 관대해지는 경향이 늘고 있다”며 우려를 표했습니다.
한편, 빅토리아주에서는 지난해 소매 절도가 전년 대비 27.6% 증가했으며 전국적으로는 약 59만 5000 건으로 2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연구진은 “소매 범죄는 소비자·소매업계·정부가 공동 대응해야 할 문제”라고 지적했고,상점·유통·동맹 직원 노동조합(SDA)도 “생활비 상승과 세대 간 불평등이 이런 반사회적 행위의 배경”이라며 정부가 법적 처벌 강화와 세대 형평성 개선 정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다시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