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중매 결혼과 강제 결혼의 차이는 동의 여부입니다.
- 강제 결혼은 2013년 범죄법 개정법에 따라 연방 범죄로 간주됩니다.
- 강제 결혼은 누구에게나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젊은이든 노인이든, 여성이든 남성이든, 다양한 문화적 또는 종교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도 포함됩니다.
- 중매 결혼과 강제 결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 호주에서 강제 결혼의 법적 처벌은 무엇인가요?
- 강제 결혼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 호주에서 강제 결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지원은 무엇인가요?
- 지역 사회는 강제 결혼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강제 결혼의 일반적인 징후는 무엇인가요?
콘텐츠 경고: 이 기사에는 강제 결혼에 대한 내용이 포함돼 있습니다. 일부 독자에게는 충격적일 수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강제 결혼은 해외에서만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강제 결혼은 호주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실제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호주 연방 경찰은 2023-24년 동안 강제 결혼 관련 91건의 신고를 접수했으며, 이는 해당 연도 인신매매 사건의 약 25%를 차지했습니다.
중매 결혼과 강제 결혼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일부 문화권에서는 중매 결혼이 일반적이지만, 강제 결혼과의 핵심적인 차이는 동의 여부에 있습니다. 중매 결혼에서는 양측이 동의하며, 종종 가족의 참여가 포함됩니다.
강제 결혼에서는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자유롭게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는 위협, 강요, 사기, 16세 미만 또는 정신적 장애를 가진 경우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적십자사 이주 지원 프로그램 자문관인 쿠자이 나타리크와씨는 결혼을 강요하기 위해 강요, 위협, 조작, 사기 등이 사용된다면 더 이상 중매 결혼이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나타리크와씨는 "그것은 강제 결혼이고, 따라서 이러한 차이를 강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많은 사람들이 혼란스러워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심지어 강제 결혼을 경험한 사람들도 당시에는 그것이 중매 결혼이라고 믿기 때문"이라고 전했습니다.
READ MORE
아동의 강제 결혼 관행, 반대 목소리 내야..
나타리크와씨는 강제 결혼이 누구에게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젊은 사람이든 노인이든, 여성이든 남성이든, 다양한 문화적 또는 종교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모두 해당됩니다.
강제 결혼은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인정받고 있으며, 호주에서도 중요한 인도주의적 문제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강제 결혼이 현대적 노예제와 유사한 관행으로 인정된다"며 "이는 특정 문화 집단, 종교 집단, 민족, 국적, 연령 또는 성별에 한정되지 않는다"고 나타리크와씨는 말합니다.
또 "누구에게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따라서 문화적 경계를 넘어 영향을 미친다"고 덧붙였습니다.

Sakina Muhammad Jan arrives for sentencing at the County Court of Victoria in Melbourne, Monday, July 29, 2024. Jan is being sentenced for forcing her daughter to marry a man who then murdered her. (AAP Image/Diego Fedele) NO ARCHIVING Source: AAP / DIEGO FEDELE/AAPIMAGE
호주에서 강제 결혼의 법적 처벌은 무엇인가요?
호주에서 강제 결혼은 단순히 가족 문제가 아닌 범죄입니다.
라이프 위드아웃 배리어스의 파노스 마수리스 이민 서비스 및 강제 결혼 프로그램 책임자는 2013년 범죄 법령 개정법(Crimes Legislation Amendment Act of 2013)에 따라 강제 결혼이 연방 범죄로 간주된다고 설명합니다. 이 법령은 호주에서 발생한 경우에 적용되며, 개인이 해외로 강제 이송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연방 범죄로 분류되기 때문에 호주 연방 경찰은 강제 결혼에 대한 감독을 조사해 왔다"며 "강제 결혼 범죄는 민사 결혼, 문화적·종교적 의식, 등록된 관계 등에 적용될 수 있다"고 마수리스 책임자는 밝혔습니다.
강제 결혼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강제 결혼은 주로 젊은 여성과 소녀들에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14세에서 18세 사이의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영향을 받습니다. 나타리크와씨는 그 원인이 개인과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고 설명합니다.
나타리크와씨는 "강제 결혼은 전통적인 성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 가족과 사회의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 발생할 수 있다"며 "또는 가족이나 사회를 강화하거나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발생할 수도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우리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강제 결혼을 주선하는 부모나 관련자들은 젊은이에게 가장 좋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자신의 역할이라고 믿는다"며 "이는 해로운 행동임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행동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멜번 기반의 하나 아사피리씨는 사회 활동가이자 페미니스트입니다.
2017년 아사피리씨는 사회 변화와 여성 권익 증진에 대한 기여로 빅토리아 주 여성 명예의 전당에 선정됐습니다. 또한 2019년 오스트레일리아 훈장(OAM)을 수여받았습니다.
READ MORE
호주 내 강제 결혼
아사피리씨는 2024년에 첫 번째 책 'Hana: The Audacity to be Free (자유를 향한 용기)'를 출간했습니다. 이 책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레바논과 호주에서의 어린 시절, 자신이 선택하지 않은 결혼에서 탈출한 경험, 그리고 20대에 이뤄진 자기 재발견의 여정을 담고 있습니다.
"호주에서 매우 어렸을 때였고, 제 결혼은 엄밀히 말해 강요된 것은 아니었지만, 저에게는 유일한 선택지처럼 느껴졌다"며 "이것이 얼마나 강압인지, 얼마나 상황에 따른 결과인지 질문하게 됐고, 이로 인해 15세 때 결혼이 자유, 존엄성, 존중, 그리고 위험에서 벗어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게 됐다"고 아사피리씨는 역설했습니다.
또한 "따라서 저에게 있어서 배정된 결혼이 선택지가 된 이유 중 일부는 바로 그런 조건들"이었다고 전했습니다.
호주에서 강제 결혼을 겪고 있는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지원은 무엇인가요?
강제 결혼 위험에 처한 사람은 여러 가지 지원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친구, 가족, 동료, 또는 결혼 문제로 위험에 처해 있거나 겪고 있는 사람을 걱정하고 있고, 도움을 받는 방법에 대한 비밀 유지 상담을 원하신다면, 1-800-113-015로 전화하거나 national_stpp@redcross.org.au로 이메일을 보내 Red Cross에 연락하실 수 있다"고 나타리크와씨는 덧붙였습니다.
2025년 1월부터 호주에서는 강제 결혼 전문 지원 프로그램(FMSSP)을 도입해 예방 및 조기 개입 지원을 제공합니다. 개인은 해당 프로그램에 직접 신청할 수 있으며, FMSSP에 1800 403 213로 연락하거나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습니다.
나타리크와씨는 만약 누군가가 즉각적인 위험에 처해 긴급한 도움이 필요할 경우, 트리플 제로(000)로 경찰에 연락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The Australian Federal Police responded to 91 reports of forced marriages in 2023-24, making up nearly a quarter of all human trafficking cases that year. Source: iStockphoto / dragana991/Getty Images/iStockphoto
나타리크와씨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격이 평가된다고 설명합니다.
나타리크와씨는 또한 강제 결혼에 대한 정보와 위험에 처하거나 영향을 받은 사람들에게 법적 및 이민 상담을 제공하는 호주 국가 서비스인 My Blue Sky를 강조합니다.
"My Blue Sky는 호주 반노예제 단체(Anti-Slavery Australia)에서 운영된다"며 "무료이고 비밀이 보장되므로, 개인이나 지역 사회 구성원, 또는 우려를 가진 누구나 웹사이트를 방문할 수 있다"고 나타리크와씨는 전했습니다.
또 "전화, 이메일, 문자 메시지를 통해 연락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역 사회는 강제 결혼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강제 결혼의 징후를 인식하는 것은 예방, 조기 개입, 지원 접근에 핵심적입니다.
인신매매와의 싸움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호주 연방 경찰(AFP)이 주도하는 호주 아동 착취 대응 센터(ACCCE)는 학교 커뮤니티가 아동이 강제 결혼에 내몰리는 징후에 대해 경계하도록 촉구했습니다. 강제 결혼은 호주에서 가장 많이 보고되는 인신매매 범죄이기 때문입니다.
헬렌 슈나이더 AFP 인신매매 대응 담당관은 언론 발표문을 통해 강제 결혼의 일반적인 징후를 설명하며, 이를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개인을 식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In some cultures, arranged marriages are common, but the key difference from forced marriages is consent. (Photo by Lynsey Addario/Getty Images Reportage) Credit: Lynsey Addario/Getty Images
강제 결혼의 일반적인 징후는 무엇인가요?
- 가족 내 형제자매가 조기 퇴학, 조기 결혼을 하거나 조기 결혼에 대한 우려를 나타낸 사례가 있습니다.
- 가정 내외에서 가족이나 지역 사회 구성원들에 의해 엄격히 통제받는 경우, 감시의 대상이 되거나 항상 동반되는 상황, 재정적 통제권이 제한되거나 전혀 없는 경우, 인생 결정, 교육, 직업 선택에 대한 통제권이 제한되거나 전혀 없는 경우.
- 통신이 감시되거나 제한되는 경우.
- 다가오는 가족 휴가나 해외 여행에 대해 우려를 표현합니다.
- 합의된 결혼이나 약혼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이나 우려를 표현합니다.
- 가족이나 지역 사회의 기대를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 신체적 또는 심리적 폭력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현합니다.
한나 아사피리씨는 누구도 결혼을 강요받거나 강제로 결혼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합니다. 그녀는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한 젊은 여성들이 도움을 요청하고 호주에서 제공되는 자원을 활용하도록 촉구합니다.
"어떠한 문화, 종교, 신념, 혹은 사회에서도, 누구에게든 강요하거나 강제로 결혼을 시키는 것은 결코 정당화될 수 없다"며 "가장 바람직하고 충만한 결혼은 당사자들이 독립적으로 충분히 이해하고, 스스로 숙고한 의사결정에 따라 동의했을 때 이뤄지는 것"이라고 아사피리씨는 강조했습니다.
가족 및 가정 폭력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분이나 주변에 그런 분이 있다면 1800RESPECT(1800 737 732)로 전화하시거나, 0458 737 732로 문자 메시지를 보내시거나, 1800RESPECT.org.au를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긴급 상황 시에는 000으로 전화해 주시기 바랍니다.
호주에서의 새로운 삶에 정착하기 위해 더 많은 소중한 정보와 팁을 확인하려면 Australia Explained 팟캐스트를 구독하거나 팔로우하세요.
질문이나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다면 australiaexplained@sbs.com.au 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뉴스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