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청소년들, 21세기 기술 교육 부재로 스트레스…

Stressed students in the library

Stressed students in the library Source: Getty

21세기에 요구되는 직업의 본질 변화가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새로운 연구에서 나타났다.


정신건강을 중시하는 이들은 학생들이 교육에서 고용으로 이행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비판적 사고와 회복력과 같은 21세기에 요구되는 기술을 가르치는 데 더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모니카 카스틸로 씨는 대학을 졸업한 후 25곳에 이력서를 넣었지만 취업에 성공하지 못했다.

그녀는 우수한 성적을 가지고 있지만 관련 업계 경험 부족으로 다른 지원자들에 뒤처지고 있다고 말했다.

카스틸로 씨는 “전공분야와 관련된 현장 실습을 할 수 있는 인턴십에 참여하기 전까지는 불행히도 계속 거부당하기만 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현재 항상 꿈꿔왔던 프로젝트 매니저로서 시드니의 한 공공보건기관에서 일하고 있다.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많은 젊은이들이 카스틸로 양과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리치아웃(Reach Out)은 1천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이 가운데 단 절반만이 졸업 후 고용될 준비가 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리치아웃의 애쉴리 드 실바 CEO는 많은 학생들이 적절한 훈련이나 지원을 받지 못했다고 믿고 있으며 응답자의 거의 30%는 직무 경험을 할 기회가 더 많은 과목을 듣길 바랬다고 말했다.

드 실바 CEO는 “이 보고서가 보여주는 것 중 하나는 젊은이들이 그들의 미래를 희망적이자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마찬가지로 미래를 두려워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 중 일부는 미래의 경제에 적합하도록 그다지 준비되지 못했다는 느낌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따라서 해당 보고서에 제시한 권고사항 중 하나는 특히 21세기 기술을 갖추도록 젊은이들을 돕는 방법에 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드 실바 CEO는 학교와 대학 및 주립기술전문대학 TAFE는 젊은이들이 변화하는 인력 수요에 맞게 더 잘 준비되도록 도와야 한다고 지적한다.

여기에는 자동화, 세계화 그리고 기업들이 정규직을 채용하는 대신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사람과 임시로 계약을 맺고 고용하는 경제 형태인 긱 경제(gig-economy) 등이 포함된다.

드 실바 씨는 “이 같은 기술의 수요가 있고 그러한 요소의 일부가 젊은이들에게 도전이 될 것을 안다면서 교육제도가 이에 부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