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중동 핵 위기 고조…트럼프 ‘이란 핵 시설 폭격 가능성’ 언급
- 호주, 이란·이스라엘 거주 국민 대피 지원 가속
- 이재명 대통령, 첫 G7 정상회의 마치고 귀국… ‘정상외교 복원’ 평가
- 기후 재해로 호주 연간 87억 달러 손실 전망… 정부에 ‘긴급 대응’ 촉구
이 시각 간추린 주요 뉴스
- 이란과 이스라엘의 충돌이 7일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란과의 핵 협상에 여전히 타결 여지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미국과 이란의 여섯 번째 핵 협상을 이틀 앞둔 상황에서,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은 이란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당시 이란은 수주 내에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단계에 있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유엔 산하 핵감시기구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이 평화적 성격이며, 조직적인 무기 개발 프로그램이 진행 중이라는 ‘신뢰할 만한 증거’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발언의 수위를 높이며, “이란 핵 시설을 폭격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다”라며 무조건적인 항복을 요구했습니다.
- 페니 웡 외무장관은 이란과 이스라엘 간 분쟁으로 위험에 처한 자국민을 대피시키기 위한 호주 정부의 노력을 발표했습니다. 웡 장관에 따르면 현재 이란에는 약 1,500명, 이스라엘에는 1,200명의 호주인이 영사 지원에 등록된 상태입니다. 영공 폐쇄 등으로 국민들의 귀환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일부는 지난밤 대피에 성공했다고 전해졌습니다. 웡 장관은 이스라엘에서는 어제 소규모 그룹이 육로를 통해 빠져나왔으며 이러한 방식으로 대피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이란은 매우 복잡하고 위험한 상황”이라며 대응의 어려움을 강조했습니다.
- 고국에서는 이재명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마치고 1박 3일간의 일정을 끝으로 귀국했습니다. 이번 캐나다 방문은 이 대통령 취임 후 첫 해외 순방이었습니다. 이 대통령은 지난 16일부터 이틀간 앤소니 알바니지 호주 총리를 비롯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캐나다, 영국, 일본 등 9개국 정상들과 회담을 가졌습니다. 다만 중동 정세의 긴박함으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조기 귀국하면서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은 불발됐으며, 이후로 연기됐습니다. 대통령실은 이번 G7 참석을 통해 “지난 6개월여 동안 멈춰 있던 정상외교가 완전히 복원됐다”고 평가했습니다.
- 극심한 기후 재해로 인해 2050년까지 호주 국민들이 연간 87억 달러의 손실을 입을 것이라는 새로운 보고서가 발표됐습니다. 보고서는 홍수, 산불, 극심한 폭풍, 해안 침식 등 기후 재해의 심각성을 분석하며, 국가 지도자들에게 즉각적인 대응책 도입을 촉구했습니다. 호주는 2025년 상반기에만도 연이은 자연 재해로 22억 달러에 달하는 경제적 손실을 겪었습니다. 기후 변화 당국은 정부에 대해 “올바른 투자를 실시하고, 명확한 기준을 세우며, 기후 목표에 부합하는 법과 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전체 프로그램을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