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창: 경계를 늦추지 않아야 할 마약 운반, 개인 환전 관련 사건

Drug Parcelling

Source: AAP

호주에서 살면서 주의해야 할 사건 사고를 알아본다. 이번 시간에는 마약 운반 등 마약 관련 사건과 환전 사기 관련 사건들에 대한 경우를 살펴본다.


Highlights
  • 모르는 사람의 물건 운반 또는 수령하는 행위, 마약 범죄 노출 위험 가능성 존재
  • 특히, 거액의 사례금 제시하는 의심스러운 요청, 반드시 거절할 것.
  • 개인 간 환전거래, 사기 피해로 이어질 확률 높아…
나혜인 피디 : 매주 수요일, 호주 한인 동포 여러분들의 생활에 밀접한 정보들을 보다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는 수요info창 시간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호주에서 살면서 유의해야 할 사건사고 중 폭행 사례와 또 여름철에 특별히 주의해야 할 바닷가 물놀이 안전사고의 예방과 대처에 관한 내용을 살펴봤는데요, 오늘도 이어서 호주에서 조심해야 할 사건사고 유형과 예방 및 대처 방법에 대해서 조철규 조철규 리포터와 알아봅니다.

나혜인 피디 : 조철규 조철규 리포터 안녕하십니까?

조철규 리포터 : 네, 안녕하십니까?

나혜인 피디 : 네, 먼저 오늘 내용에 앞서 지난 시간에 살펴본 내용 간략하게 정리해 주시죠

조철규 리포터 : 네, 저희가 말씀해 주신 것처럼 저희가 지난 시간에는 폭행과 물놀이 안전사고에 대한 내용을 살펴봤습니다. 먼저 폭행 사건은 굉장히 위험하기 때문에 늦은 시간에 인적 드문 거리나 공원, 놀이터에 혼자 다니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는 점 또 불가피하게 이동하실 때에는 자동차 같은 안전한 이동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는 점 말씀 드렸습니다. 또 물놀이나 바다낚시의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기상상황을 사전에 미리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미끄럼 방지 신발, 구명조끼 등 안전장비 착용, 항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친구나 동료와 함께 행동할 것, 그리고 무엇보다 무리한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꼭 기억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나혜인 피디 : 네, 그렇군요. 안전이 항상 중요하다는 점 다시 한번 떠올리게 되는데요, 오늘은 어떤 내용을 준비해 오셨을까요?

조철규 리포터 : 네, 첫 번째 사건 사고 유형으로 마약 사건에 관한 내용을 준비했습니다.

나혜인 피디 : 네, 사실 어느 국가나 다 마약 관련 범죄는 중범죄로 다뤄지고 있고 또 형을 선고받으면 장기간 수감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범죄라고 할 수 있죠.

조철규 리포터 : 네, 그렇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온 유학생이나 워킹홀리데이 학생들의 경우 마약 투약이 아니라 마약 운반을 하다가 체포되어 수감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나혜인 피디 : 2018년도에 남호주에서 워킹홀리데이를 하던 한국인 여학생이 수감된 사건을 비슷한 경우로 볼 수 있겠군요.

조철규 리포터 : 네, 그렇습니다. 특히 학생이나 워킹홀리데이 참가를 대상으로 한 마약 운반 건의 경우 단순히 물건 배달, 택배 수령 등의 부탁을 하고 거액의 금품을 제공한다고 유혹하여 범죄의 길로 빠지게 됩니다. 말씀해 주신 남호주 여학생 사건의 경우 언론을 통해 보도된 바에 의하면 정말 다행스럽게 무혐의 처분을 받고 석방이 되었으나, 결국 무혐의 판결을 받기까지 교도소에서 수감생활을 하는 등 어려운 시간을 보내야만 했습니다.
나혜인 피디 : 그렇군요, 이러한 마약범죄 정말 한순간에 인생을 바꿀 수 있을 정도로 심각하고 조심해야 할 사건사고군요.

조철규 리포터 : 네, 그렇습니다. 마약 투약이 아니라 단순히 내용물도 모른 채 마약 운반에 연관이 되는 순간부터 큰 범죄에 가담한 것으로 해석이 되고 또 물건 운반을 하기로 결정한 것은 본인이 되기 때문에 본인의 판단에 대한 책임이 매우 큰 것입니다.

나혜인 피디 : 그렇군요,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을까요?

조철규 리포터 : 네, 우선은 가장 중요한 것은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물건 운반이나 택배 수령 같은 부탁은 절대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공항에서 모르는 사람이 거액의 대가를 조건으로 물건 샘플이나 기타 물건들을 급하게 운반해 달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상당히 위험합니다. 특히 호주 외에 다른 일부 동남아 국가에서 적발될 경우 더욱 심각한 처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청을 받은 경우에는 무조건 거절하고 공항 보안 책임자에게 즉시 신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혜인 피디 : 그렇군요.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거액의 금품을 대가로 간단한 물건 운반을 부탁 받는다면 반드시 의심해 보시고 거절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또 다른 사건사고 사례는 어떤 것을 준비하셨을까요?

조철규 리포터 : 네, 아마 호주에 계신 유학생, 워킹홀리데이 참가자 뿐만 아니라 교민분들도 한국에 송금할 때 수수료를 아끼기 위해 개인과 환전거래를 하시는 분이 많을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나혜인 피디 : 네, 그렇죠. 아무래도 은행을 통한 환전 수수료가 저렴하지는 않다보니 개인 간 환전거래를 하시는 분들이 많죠.

조철규 리포터 : 네, 하지만 개인 간의 환전거래는 환전 사기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매우 큽니다. 심각한 경우 거액의 환전 거래를 하러 나갔다가 상대방이 흉기로 위협해 환전 금액을 모두 빼앗은 뒤 달아나거나 심한 경우에는 살인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최근에는 보이스피싱으로 연계되는 사례도 많은 것을 알려져 있습니다.

나혜인 피디 : 환전 사기가 보이스 피싱 범죄로
연결이 되는 것은 어떤 경우죠?

조철규 리포터 : 네, 예를 들어서 한국인 A가 호주에서 모은 달러를 한국 원화로 바꾸기 위해 광고를 통해 B와 환전을 하게 됩니다. A는 호주달러를 B의 호주 계좌로 송금하고 이에 상응하는 원화가 한국 계좌로 들어온 것을 확인하고 안심한 후 거래가 종료됩니다. 하지만, 이후에 A의 한국 계좌는 범죄 연루 사유로 지급정지 처리됩니다.

조철규 리포터 : 지급정지라면, 돈을 인출할 수 없는 것인데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조철규 리포터 : 네, 예를 들면 A와 B가 환전거래를 하고 있다고 했을 때, A가 B에게 먼저 호주 달러 보냅니다. B는 A의 한국 계좌에 이에 상응하는 한화를 보내기로 약속을 한 거죠. 돈이 들어오는데 사실 이 돈은 쓸 수 있는 돈이 아닙니다 왜냐면 B의 다른 동료 C가 한국에서 카카오톡이나 문자메시지를 이용해 보이스 피싱을 하면서 이 대상자에게 협박성 메시지와 함께 A의 계좌번호를 보내주며 해당 계좌로 송금하도록 유도를 하는 것입니다. 성공한다면 A의 한국 계좌에는 돈이 들어오지만 보이스 피싱을 한 돈이므로 A의 한국 계좌는 지급정지되고요. 이 돈은 쓸 수 없게 됩니다. 게다가 또 법적으로 무고함을 해명해야 하겠죠. 반면, B와 C는 A가 벌어들인 호주달러를 고스란히 챙길 수 있습니다.
나혜인 피디 : 그렇군요… 환전 사기 정말 수법이 다양해 진 것 같은데, 방지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조철규 리포터 : 방지 방법은 간단합니다. 수수료가 조금 더 발생하더라도 은행 등 안전한 경로를 통해 송금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은행을 통해 송금할 경우 잘못 되더라도 추적이 가능하고 돈을 지킬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나혜인 피디 : 환전 수수료를 아끼려고 개인과 환전거래를 하다가 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점 반드시 기억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조철규 조철규 리포터 수고하셨습니다.

조철규 리포터 : 네, 감사합니다.

sbs.com.au/language/coronavirus를 통해 코로나19 뉴스와 정보가 63개 언어로 제공됩니다.



Share
Follow SBS Korean

Download our apps
SBS Audio
SBS On Demand

Listen to our podcasts
Independent news and stories connecting you to life in Australia and Korean-speaking Australians.
Ease into the English language and Australian culture. We make learning English convenient, fun and practical.
Get the latest with our exclusive in-language podcasts on your favourite podcast apps.

Watch on SBS
Korean News

Korean News

Watch it onDe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