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SW 주 무역투자대표부 김유진 상무관
- 2014년부터 NSW 주 무역투자대표부(NSW Investment) 한국 대표로 근무 중
- NSW 주 총리 방한 및 한국 대표단의 시드니 방문 지원
- NSW 주 내 기업의 한국 진출 사업 지원
- 20년 이상 한국, 싱가포르, 뉴질랜드 등 외국계 기업 근무
나혜인 PD: Investment NSW, 뉴 사우스 웨일스 (NSW)주 정부 무역투자대표부 서울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김유진 상무관님 연결합니다. 안녕하십니까?
김유진 상무관: 안녕하세요?
나혜인 PD: 먼저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김유진 상무관: 네. 반갑습니다. 저는 주한호주대사관 무역투자대표부에서 뉴 사우스 웨일스 주 정부에 무역투자진흥관으로 일하고 있는 김유진이라고 합니다. 2014년도부터 지금 쭉 뉴 사우스 웨일스의 주 정부 한국 대표를 맡고 있고요 9년째 호주를 위해서 일하고 있습니다.
NSW 주 무역투자대표부(NSW Investment) 한국 대표 김유진 상무관 Credit: Yoojin Kim
김유진 상무관: 네. 호주는 연방 정부가 두 정부 이렇게 있잖아요. 그런데 그 6개의 스테이트 별로 무역 투자청이 있습니다. 그래서 Investment NSW는 뉴 사우스 웨일스 주의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있는 커머셜 아미라고 보시면 되고요 뉴 사우스 웨일스 기업이 해외로 진출을 하고 수출하는 업무를 도움을 드리고 또 해외 기업들이 뉴 사우스 웨일스 주에 투자를 하는 것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투자 유치는 결국 캐피털 인베스트먼트도 있겠지만 고용 창출에 도움이 되는 업무를 저희가 적극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베스먼 뉴사우스웨일즈 조직은 현재 한 15개 국가의 한 22개소 해외사무소가 있고요. 그리고 뉴 사우스 웨일스 이제 한국 팀은 저 혼자 쭉 하다가 너무나도 감사하게 이제 작년에 한 분이 더 조인이 돼서 두 명이 같이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나혜인 PD: 두 분이서 정말 엄청난 업무를 해 주고 계시네요.
김유진 상무관: 네 그리고 다행히 저희는 이제 연방 정부 안에 앰버시 안에 지금 있어서 함께 일을 하고 있고요 그리고 또 뉴 사우스 웨일스 주정부 노스 에이지아 팀의 이제 일본하고 한국을 같이 관할하는 커미셔너가 있어요. 그래서 그분이 또 굉장히 한국 비즈니스에 관심이 많고 또 열정적이셔서 굉장히 액티브하게 하고 있습니다.
나혜인 PD: 두 분이서 거의 일당백의 업무를 소화하실 것 같은데요. 특히 최근 들어 호주와 한국 사이에 다양한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저희도 많이 보도해 왔습니다. 특히 뉴 사우스 웨일스 주 무역투자대표부에서 중점적으로 추진해온 사업들 어떤 게 있었습니까?
김유진 상무관: 예. 저희가 이제 팀은 작은 팀인데 돈 되는 거 다 합니다. 그래서 수출을 지원해 드리기 위해서 고잉 글로벌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어가지고 뉴 사우스 웨일스 기업이 이제 한국에 진출할 수 있도록 꾸준히 도움을 드리고 있고요. 그리고 또 투자 유치 쪽으로는 이제 인더스트리 섹터 굉장히 다양한데 최근에는 이제 에너지 자원 쪽 문의가 굉장히 많이 들어오고 있어요. 신재생 에너지, 수소 에너지 관련한 것도 그렇고 그리고 또 크리티컬 미네랄 광물 자원이 또 호주가 또 축복받은 땅이지 않습니까 그래서 이제 호주 한국 기업한테 굉장히 인콰이어리가 많이 들어오고 있고 그리고 또 인프라 프로젝트에 한국 기업에 굉장히 관심이 많습니다. 잘 아시는 한국 기업분들이 호주에서 훌륭하게 프로젝트를 이제 수행을 하고 계시기 때문에 특히 뉴 사우스 웨일스 주는 여러분들이 사용하시는 그런 큰 도로나 그런 인프라 쪽에 많은 참여를 하고 있고 또 바이오 헬스 쪽이 요즘 굉장히 핫합니다. 그리고 여전히 농식품 관련된 분야는 또 저희가 또 지속적으로 지원을 해드리고 있고요.
김유진 상무관(앞에서 2번째 줄 가장 왼쪽), 도미닉 페로테이 NSW 주 총리(1번째 줄 왼쪽에서 5번째)와 캐서린 레이퍼 주한 호주 대사((1번째 줄 왼쪽에서 6번째) Source: Supplied / NSW Investment
김유진 상무관: 사실 저희가 이제 저희 같은 무역투자진흥청의 역할이라고 생각을 하는데 홀리데이 데스티네이션이라는 이미지가 굉장히 강해요. 호주는 특히 한국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근데 이제 저 같은 사람은 워낙에 기업분들을 많이 만나다 보니까 한국 기업들이 호주에 대한 관심사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는 걸 느끼거든요. 그래서 일반적인 한국 소비자들의 호주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깨끗하다 청정지역이다. 그런 이미지가 있어서 저희가 이제 제품을 프로모션 할 때는 이미지를 늘 활용을 합니다. 호주 제품을 이제 한국에 프로모션 할 때는 근데 사실 저희가 코로나를 겪으면서 놀랍게도 한국 기업분들이 너무 관심이 많은 거예요. 이제 호주 쪽, 호주 비즈니스에… 그래서 지금 뉴 사우스 웨일스 주만 하더라도 한국 기업의 프레전스가 한 70여 개사가 되거든요.
나혜인 PD: 이렇게 많나요?
김유진 상무관: 그건 호주 전체에 한국 기업의 프레전스가 한 90개사 정도로 파악을 하고 있는데, 거의 80% 이상이 이제 NSW주에 있어요. 너무 감사한 거죠. 그래서 이제 저희가 지금 현재 현존하고 있는 한국 기업분들이 또 재투자를 하고 또 재고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 아시다시피 AKBC, KABC 조인트 미팅 같은 거 적극적으로 지원을 해 드리고 또 스폰서를 하고 관계 유지를 하기 위해서 굉장히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굉장히 놀랍게도 한국 기업들은 여전히 오히려 더 많이 코로나 이후에 더 관심을 가져주신다 그렇게 느끼고 있습니다.
호주한국경제협력위원회(AKBC) 및 한국호주경제협력위원회(KABC) 합동 행사를 진행 중인 김유진 상무관 Source: Supplied / Yoojin Kim
김유진 상무관: 사실 제가 이 조직이 7번째 조직이에요. 제 커리어상에 그런데 저도 이제 애가 둘이고 육아와 가사를 이제 경하면서 일을 하다 보니까 늘 어려움이 있었어요. 근데 애가 아프면 그만둬야 되고 그런 식으로 해서 많이 옮기게 됐는데 보니… 이게 신기한 거는 저는 이제 늘 지인의 추천으로 옮겨왔어요. 그러니까 그 뜻은 뭐냐 하면은 제가 몸담았던 조직에서 저를 굉장히 잘 봐주시고 좋은 인상을 가져주셨던 분이 다른 조직에 가셨을 때 이제 제안을 해 주시고 너무나 감사한 일이죠. 그런 식으로 해서 이제 쭉 왔는데 호주하고는 연관성이 없다가 뉴질랜드 대사관에서 제가 잠시 일한 적이 있거든요. 그래서 뉴질랜드 무역투자청 한국사무소에서 잠시 일할 때 계셨던 분이 또 그분은 예전에 같은 한국 정부 산하기관에서 일했던 분이세요. 이 포지션이 났다고 알려주셔가지고 저한테 딱 맞는 것 같다고 말씀을 해주셔가지고 굉장히 열심히 준비를 했습니다. 그래서 도전을 했는데 다행히 결과가 좋아서 지금 굉장히 만족을 하고 있고 저는 여기 이 조직 문화에 굉장히 만족을 하고 감사해 하면서 다니고 있습니다.
나혜인 PD: 네. 조직 문화 말씀하셨는데요. 김유진 상무관님께서는 호주뿐 아니라 한국 그리고 아까 뉴질랜드도 언급하셨고 또 싱가포르 등 다양한 국적의 기업에서 근무해 오신 바 있습니다. 혹시 호주만의 직장 문화라는 걸 느끼시는지요. 특히 주한 호주 대사관에서 같이 근무하시기 때문에 좀 호주 공무원 사회의 특징도 느끼실 것 같은데 어떻게 파악하시는지 궁금합니다.
김유진 상무관: 사실 제가 이 조직에 지원한 이유가 혹시 워라벨을 이룰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으로 했거든요. 근데 호주 정부 분들이 제가 생각했던 거다 굉장히 열심히 일을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나혜인 PD: 아직 워라벨을 만족하지 못하셨나요. 어떻게 이루셨나요?
김유진 상무관: 워라벨을 이루기는 이루는데 제가 이제 너무 클라이언트 포커스 된 업무 스타일이다보니까 이제 들어오는 인콰이어리에 대해서 좀 이렇게 막 해주고 싶은 열심이 생기니까 즐거운 마음으로 하고 있는데 제가 이 조직에서 제일 놀란 게 안전에 대한 스탠더드가 굉장히 높구나. 그리고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WHS라고 하나요. 워크 플레이스 스탠더드가 굉장히 높구나 그런 거를 느끼면서 되게 기존의 좀 노예처럼 일을 해왔다면 이 조직에서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받는 느낌을 좀 받았습니다. 그래서 늘 이제 직원의 안위 그런 거 이제 체크를 하고 스트레스 정도를 체크를 하고 그러니까 그런 걸 이제 챙겨 받는 느낌을 좀 받았고요. 굉장히 투명하다는 걸 느꼈어요. 그러니까 저희가 무슨 기프트 레지스터가 그런 제도가 있어가지고 늘 그런 거 이제 리포트를 하고 그리고 또 그런 제도가 굉장히 투명하게 잘 돼 있더라고요. 그리고 이제 장관님이나 누구든 한국 방문하시면은 그 미팅 어레인지를 엄청 스케줄을 빡빡하게 해요. 그래서 와 있는 동안에 최대한 이제 시간을 활용해서 최대의 효과를 이제 갖고 가려고 노력하는 게 굉장히 느껴진다는 게 또 인상적이었고 또 그게 또 이제 전체 포털에 이렇게 공시가 되더라고요 이렇게 얼마를 집행을 했고 어떤 스케줄이었고 이런 게 누구나 볼 수 있게 그렇게 하는 거를 보고 좀 놀라기도 했거든요. 그래서 굉장히 투명하다 그리고 직원에 대해서 존중받는 느낌이다. 그리고 가족과 그런 걸 중요시하는 문화 어떻게 보면은 우리나라 문화는 좀 조직 중심적인 게 있거든요. 개인을 우선시하기보다는 그렇죠 굉장히 개인의 휴가를 챙길 수 있도록 존중해 주고 그런 문화는 일할 때 일하고 쉴 때 쉬고 그런 건 좀 느꼈습니다.
NSW 주 무역투자대표부 김유진 상무관 Source: Supplied / Yoojin Kim
김유진 상무관: 지금 한국 기업 같은 경우에는 약간 인더스트리 성향을 타는 것 같아요.
나혜인 PD: 그렇죠.
김유진 상무관: 소프트웨어 쪽은 여성분들을 좀 더 많이 볼 수 있는 것 같고요 그리고 직종 따라서 마케팅 직종은 여성분들이 좀 많은 것 같고 그러니까 인더스트리가 어느 분야이냐 그리고 직종이 어느 분야이냐에 따라서 좀 성비가 달라지는 것 같아요. 금융 쪽에서도 여성분들을 좀 보고요 그런데 아무래도 임원진 보이지 않는 유리라는 게 아직까지도 존재를 좀 하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이제 예전에 비해서는 많이 여성 경영진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중이라고 저는 느껴집니다.
나혜인 PD: 네. 그렇군요. 물론 리더십이라는 게 개인에 따라 다를 겁니다. 하지만 여성 리더십이 가진 큰 특징 우리 김유진 상무관님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김유진 상무관: 저는 이제 여성이기 때문에 갖는 리더십이라기보다는 이제 다른 분들은 다 섬세함 그런 거를 많이 말씀합니다만 저는 육아의 경험이 있냐 없냐에 따라서…
나혜인 PD: 좀 더 이해력이 좀 생기는 건가요?
김유진 상무관: 좀 바뀌는 것 같아요. 실질적으로 이제 육아를 해보신 경험들이 있는 분들은 직원의 개인사도 해야 될 줄 아는 것 같고 네 모든 게 인사가 만사지 않습니까 그러니까 인간이 약간 자기네 개인적인 일들이 좀 순조롭게 풀리면 직장에서도 업무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그런 부분에 오히려 더 차이가 나지 않나 리더십이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게 한번 또 생각을 해봅니다.
NSW 주 무역투자대표부 김유진 상무관 Source: Supplied / Yoojin Kim
김유진 상무관: 네. 만약에 이제 2세대시나 3세대시나 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은 부모님의 선택에 감사해도 될 것 같습니다. 호주가 정말 축복받은 땅이라고 저는 느껴지고요 넘치는 천연 자원과 그리고 또 금융 강국이거든요. 그리고 이런 말도 안 되는 트리플 에이 크레딧 레잇을 갖고 있는 곳이 정말 흔치 않고요. 그리고 또 지속적으로 성장을 꾸준히 이루어오고 있고 그리고 인구가 증가하는 몇 안 되는 선진국 중에 하나이고 또 OECD국가 중에서도 최저임금이 또 높은 나라이고 이런 나라에서 충분히 꿈을 펼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또 저희 같은 조직에서 열심히 한 후 기업 간의 파트너십을 촉진시키고 있기 때문에 호주 한국인 동포로서의 가능성은 굉장히 무궁무진하다고 생각을 하고요. 지금 또 유학생들 중에서도 지금 취직이 되고 있는 분들을 저희가 많이 목격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 뉴 사우스 웨일즈 주 실업률이 4% 대라고 하니까 이거는 실질적으로 완전 고용에 가깝거든요. 그래서 기업분들 차원에서도 늘 일손이 모자랐다라고 지금 말씀하시는 곳이 많습니다. 그래서 한국 기업에도 관심을 가져주시고 또 호주 기업 중에서도 한국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또 많습니다. 그러니까 그런 기업… 관심을 가져주셔서 꿈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많으니까 저희 같은 조직에도 또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나혜인 PD: Investment NSW, NSW 주 무역투자진흥청 김유진 상무관님 오늘 멀리 한국에서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김유진 상무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