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원주민 학생과 비원주민 학생 간의 교육 성과 격차는 지난 몇 년간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존재합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원주민 주도의 문화 교육 사업을 수용하면 모든 아동의 교육 성과가 향상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한 12학년 졸업생은 자신의 학업 성취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된 것은 교사의 지원과 학교를 통한 문화와의 연결 덕분이라고 말합니다.
유럽 식민지화 이전, 원주민 문화는 토지와 지식, 그리고 공동체와 깊이 연결된 풍부한 교육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전통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교육 성과의 불평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원주민 학생들의 학교 출석률, 문해력 및 산수 능력, 그리고 대학 진학률은 낮습니다. 이는 원주민 차별과 문화적으로 포용적인 교육의 부족 그리고 사회경제적 불이익과 같은 역사적이고 지속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2008년 호주 정부는 원주민들이 겪었던 학대, 특히 아동을 가족과 공동체, 그리고 원주민 컨트리에서 강제로 떼어놓은 것에 대해 공식 사과했습니다.
이 사과의 일환으로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원주민과 비원주민 호주인 간의 격차를 해소하겠다는 약속이 이루어졌습니다.
바디와 키자 원주민 출신인 샤론 데이비스 씨는 전국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제도민 교육 업체(NATSIEC)의 CEO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데이비스 대표는 원주민 교육 격차 해소 방안을 논의할 때 원주민 아동들이 직면한 차별의 역사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법률과 정책은 처음부터 원주민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지 못하게 하는 데 분명히 원인 제공을 해왔습니다. 최근 NIYEC(전국 원주민 청소년 교육 연합)의 보고서가 있는데, 구글 검색하면 볼 수 있습니다. 이 보고서는 20세기 초에 도입된 '요구에 따른 배제 정책'과 같은 정책을 강조했습니다. 그들은 실제로 비원주민 가정이 원주민 아이들을 교실에서 빼달라고 요구할 수 있는 정책을 명시했습니다.”

Sharon Davis, CEO of NATSIEC Source: Supplied / Sharon Davis
샤론 데이비스 대표는 공동 의사 결정 및 원주민 교육을 위한 공동체 주도 부문 구축과 같은 개혁의 중요성을 설명합니다.
“우리는 원주민 공동체가 운영하는 단체가 공동체의 요구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지속 가능한 방법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우리 원주민들이 교육을 주도하는 곳에서 우리는 더 나은 참여율과 더 나은 결과, 그리고 우리 젊은이들을 위한 더 발전된 길을 보게 될 겁니다. 그리고 아마도 서로 긴밀히 협력하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것은 진정한 파트너십입니다. 우리 단체가 그러한 의사 결정권을 가질 때, 우리는 단지 추측이 아닌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진정한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원주민 문화 교육이 발전할 수 있을까?
울릉공 대학교 울릉가 원주민 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아와바칼족, 가메로이족, 유인족 출신 앤소니 맥나이트 박사는 원주민 교육학(Aboriginal pedagogy)을 호주의 교육과정과 정책, 그리고 실제 생활에 접목하는 방법을 오랜 기간 가르치고 연구해 왔습니다.
맥나이트 박사는 원주민 교육에서 격차 해소의 의미가 재구성되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격차 해소는 원주민이 서구 교육 이해와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는 원주민의 교육 시스템에도 막대한 격차를 남깁니다. 저는 원주민 아동이 그 중간에 있어야 하며, 두 지식이 그 중간 지점에서 만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학생들은 두 지식 시스템 모두에서 살아갈 수 있는 기술을 갖추어야 합니다."
샤론 데이비스 대표는 문해력 점수나 출석률과 같은 지표만으로 교육의 성공 여부를 측정하는 것은 더 큰 그림을 놓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교육 성과의 격차를 강조하는 것도 여전히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Dr McKnight has spent years teaching and researching how to embed Aboriginal pedagogy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Source: Supplied / MichaelDavidGray
동등한 교육 성과를 위한 로드맵
"예를 들어, 중학교에서 원주민 학생들의 출석율은 현재 약 59%이며, 비원주민 학생들의 85%와 비교하면 격차가 큽니다. 이러한 비교는 실제로 시스템상의 무언가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호주의 교육 시스템은 본래 원주민을 위해 설계된 것이 아닙니다. 그리고 결과에 격차가 있다는 것은 교육이 원주민과 토레스 해협 제도 학생과 젊은 학습자들에게 제대로 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Retori Lane (L) with her mother, Jenadel Lane. Source: Supplied / Retori Lane
뉴사우스웨일즈에서 12학년을 마친 역대 최대 규모의 원주민 학생 그룹에 속한 레인 씨는 지지를 받는 학습 환경이 모든 것을 바꿔놓았다고 말합니다.
"지원에 대한 접근성이야말로 12학년 졸업과 불합격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이었습니다. 저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를 둘러싼 지원이었습니다."
지원 네트워크에는 학교 교직원, 원주민 교사, 그리고 호주 원주민 스포츠 협회(NASCA) 직원들이 포함됐습니다. NASCA는 뉴사우스웨일즈주와 노던 테리토리에서 원주민 학생들이 문화에 적응하고 학교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체입니다.
"특히 모든 교직원들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NASCA 직원들도 와서 수업을 안내해 주고, 처음부터 끝까지 도와주셨습니다. 그리고 선생님들은 무엇이든 도와주려고 항상 곁에 계셨습니다."
레인 씨의 어머니인 제너델 씨는 딸이 졸업한 더보 시니어 칼리지의 교감입니다.
가족 중 처음으로 대학에 진학했던 제너델 교감은 원주민 교육의 세대적 변화에 대해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저를 찾아오는 아이들이 아직도 있는데, '선생님, 제가 우리 가족 중 처음으로 졸업하는 사람이에요'라고 말합니다. 그것만으로도 우리들에게는 큰 성취입니다. 저는 원주민으로서 이 나라에서 우리가 극복해 온 모든 것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은 하나의 성취입니다. 왜냐하면 원주민으로서 우리가 마주했던 모든 역경 속에서도 우리는 서구식 사고방식의 교육을 극복해 왔기 때문입니다.”
레토리 씨는 원주민학 전공으로 인문학 학사 학위를 취득할 예정입니다.
지역 사회의 다른 젊은이들이 교육을 통해 힘을 얻고 문화와 다시 연결될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덧붙였습니다.
"저는 정체성을 잃어버린 원주민 아이들을 교육할 수 있는 위치에 서려고 노력합니다. 원주민 아이들은 여러 세대에 걸쳐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잘 알지 못하기 때문에 원주민 정체성을 잃어버렸습니다. 그래서 원주민 문화를 되살리고 그 과정에 함께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원주민의 관점에서 교육 격차를 해소한다는 것은 단순히 교육 성과를 개선하는 것 이상을 의미합니다. 원주민의 지식을 소중히 여기고 공동체가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주며 문화적으로 안전한 공간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또한 정체성과 자부심을 갖고, 미래 세대가 문화와 연결되면서도 스스로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호주에서의 새로운 삶에 정착하기 위해 더 많은 소중한 정보와 팁을 확인하려면 Australia Explained 팟캐스트를 구독하거나 팔로우하세요.
질문이나 주제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다면 australiaexplained@sbs.com.au 로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READ MORE

오스트레일리아 익스플레인드: 빼앗긴 세대란 누구인가?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다시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