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Points
- 유학생 대상 ‘퀵 캐시’ 사기 확산 경고
- 범죄 조직, 계좌·신분증을 자금세탁·계정 개설에 악용
- 계좌 공유 금지·의심 제안 즉시 신고 촉구
호주 연방경찰(AFP)은 범죄 조직이 유학생들에게 은행 계좌와 신분증을 넘기도록 유혹하는 ‘퀵 캐시(quick cash)’ 사기가 확산하고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특히 호주를 떠나기 직전의 유학생들이 주요 표적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거래는 학생들을 대규모 자금세탁 범죄에 연루시키는 위험한 행위로 지목됐습니다.
자국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는 학생들은 자신의 호주 은행 계좌 접근 권한을 넘겨주는 대가로 수백 달러의 현금을 즉시 받는 제안을 받고 있습니다. 일부는 여권, 운전면허증, 기타 신분증을 판매하라는 요구까지 받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이러한 거래가 불법일 뿐 아니라 학생들 본인을 범죄 조직의 구성원으로 연결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호주 연방경찰이 주도하는 합동 사이버범죄 조정센터에 따르면, 범죄 조직은 유학생들에게 호주 은행 계좌 제공의 대가로 200~500달러를 지급하고, 자금세탁에 이용한 금액의 10%를 추가로 준다고 제안하고 있습니다. 구매된 신분증은 새로운 계좌 개설에 악용돼 학생 본인의 이름으로 범죄가 이뤄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마리 안데르손 수사관은 범죄자들이 이러한 계좌를 이용해 실제 인물을 사칭하거나 취약 계층의 저축 계좌를 빼앗는 데 활용하고 있다며, 학생들이 범죄 조직과 불가분하게 얽힐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안데르손 수사관은 “겉보기에 무해한 부탁이거나 쉬운 돈벌이처럼 보일 수 있지만, 그 결과는 형사 처벌, 비자 취소, 호주 재입국 영구 금지로 이어질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또한 “범죄 조직이 젊은 층의 계좌를 통해 수백만 달러를 세탁하고 있으며, 그 결과 학생들 본인도 자금세탁 혐의로 처벌받을 수 있다”라고 경고했습니다.
금융정보기관 호주 거래보고 분석센터(AUSTRAC)는 유학생들이 고위험 사기 대상이라고 경고하며, 범죄 조직이 호주를 떠나는 이들이나 생활비 마련이 필요한 학생들을 노린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계좌는 일일 거래 한도를 우회하거나, 계좌 수를 늘리고, 이미 고객 신원 확인 인증이 끝난 프로필을 활용해 자금세탁을 은폐하는 데 악용된다고 2024년 6월 금융 범죄 가이드에서 분석했습니다. 호주 은행협회는 범죄 조직이 허위 채용 공고, 로맨스 스캠, 온라인 광고 등을 통해 학생들을 이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호주에서 자금세탁 범죄는 최고 무기징역형에 처할 수 있습니다.
- 모르는 사람, 신뢰할 수 없는 사람에게 은행과 개인정보를 절대 공유하지 않습니다.
- 누군가 계좌를 사용하겠다고 요구하면 단호히 거절합니다.
- 조금이라도 의심스럽다면 즉시 제안을 거부합니다.
안데르손 수사관은 많은 학생이 자신들이 이용당하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적발됐을 때 결국 책임을 지는 사람은 학생 본인이라며, 호주를 떠나기 전에 반드시 현지 은행 계좌를 해지하고, 디지털과 개인 신분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어떤 경우에도 타인에게 정보를 팔거나 공유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국가를 떠난다고 해서 디지털 자취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은행 계좌와 이름, 신분은 전 세계 경찰이 추적할 수 있어 그와 연결된 모든 범죄가 이어진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상단의 오디오를 재생하시면 뉴스를 들으실 수 있습니다.
호주 공영방송 SBS(Special Broadcasting Service) 한국어 프로그램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세요. 구글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SBS Audio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